김덕영
대전시 협력관

삼전도 비(碑)가 있었다는 송파(松坡)나루에서 숫내를 건너면 고향집에 다다른다. 듣기로는 숫내처럼 들렸지만 알고 보니 숯내(炭川 탄천)였다.

숯내에 외나무다리가 하나 놓여있는데, 아래 흐르는 물을 보면 발을 헛디디기 십상이니 움직이지 않는 걸 보면서 지나야 한다. 여름장마나 태풍으로 다리가 떠내려가면 허리춤까지 차는 물을 건너야 하는데 작은 아버지 등에 업혀 가면서 등 위에서도 어린 마음에 가슴 졸였던 기억이 있다. 아프리카인들은 머리에 큼지막한 돌을 이고 내를 건넌다고 하는데 물살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몸무게를 늘리는 지혜가 숨어있는 듯하다.

낙락장송 키 큰 소나무들이 하늘 높이 울타리하고 있는 마을 어귀(방죽머리)에 다다르면 이제부터 시골집이 있는 궁말(宮마을)이다. 조선조의 별궁이 있어 그리 불렀다는 데 지금도 광평대군 묘역이 자리 잡고 있다. 인근에는 밤고개(栗峴 율현), 쟁골(紫陽 자양골), 좀 멀리는 깊은 골(深谷 심곡)과 안골(內谷 내곡)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이름이 나온 김에 하는 이야기지만 어른들은 지명을 순 우리말 예컨대 풍납(風納)동은 바람들이, 암사(岩寺)동은 바웃절이, 석촌(石村)동을 돌마리로 부르고는 했다.

여름에는 부엌 아궁이 외에 마당에 별도로 설치된 화덕에서 밥을 했는데 재속에서 강냉이나 앞 논에서 잡아온 메뚜기 가끔은 미꾸라지에 소금을 뿌려 호박잎으로 싼 것 등 노릇노릇 구워진 걸 꺼내서 재를 후후 불고 먹으면 참 고소했다.

여름을 지나 하늘이 높아지면 고추잠자리도 덩달아 높이 날아 다녔는데 싸리 빗자루로 휘두르면 한 두 마리씩 걸리고는 했다.

수박과 참외 껍질 씨, 호박 속 긁은 것, 썩어서 도려낸 씨감자 등의 속은 모두 쇠죽을 끓일 때 함께 넣으면 그만이었다. 먹는 것과 약은 그 원천을 같이한다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의 전통방식으로 먹인 소에게는 구제역도 비켜간다고 한다.

쓰고 버린 허드렛물은 조그만 실개천이 돼 흐르는데 주변에는 채송화가 올망졸망 피어 있고 도랑에는 실지렁이가 모여 살면서 하수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했으며 타고 남은 재는 잿간에 널어놓으면 됐으니 사실 쓰레기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 요즘 말하는 환경친화적(Eco-friendly) 기술은 다름 아닌 우리의 전통생활 그 자체다.

추석이면 일가족이 시골집에 갔다가 산길을 걸어 청숫골 외갓댁에 다녀가곤 했는데 으슥한 굴 옆을 지나칠 때 “할아버지가 굴 안에서 눈을 번쩍이는 호랑이를 보았다”는 이야기를 아버지로부터 듣기도 했다. 다리가 아파 올 즈음 산등성이에 있는 과수원에 가서 꿀물이 뚝뚝 듣는 배를 깎아 먹다가 한 봉다리 사고 다시 무거운 발길을 옮기면 하늘이 어스름하게 어두워질 무렵 외갓댁에 당도하곤 했다.

청숫(淸水)골(청담동) 우물물은 차가워서 한여름에도 미리 떠놓아야 등목을 할 수 있는데 물컵에 따르면 콜라처럼 물방울이 톡톡 튀어오르곤 했다. 명불허전(名不虛傳 이름이 헛되이 전해진 것이 아님), 청담(淸潭)이라는 이름값을 했다.

추석이 다가오니 고향 생각을 해 보았는데 하지장(賀知章 655~744)이 고향에 돌아와 쓴 ‘회향우서’가 생각난다.

回鄕 偶書 (고향에 돌아가 우연히 쓰다)

少小離家 老大回 (소소리가 노대회) : 어려서 떠난 고향 늙어서 돌아오니
鄕音無改 鬢毛衰 (향음무개 빈모쇠) : 사투리 여전한데 귀밑머리 희어졌네
兒童相見 不相識 (아동상견 불상식) : 아이를 마주봐도 알아보지 못하니
笑問客從 何處來 (소문객종 하처래) : 웃으며 어디서 왔느냐고 도리어 묻네

그는 90세 가까이 장수하면서 이태백을 적선(謫仙; 하늘에서 귀양 온 신선)이라고 평하고 두보와 교유하기도 했는데 관직에 50여 년 있다가 늘그막에 고향에 돌아왔을 때의 감회를 표현한 것이다.
어릴 때와 늙음, 변하지 않은 사투리와 하얗게 센 머리가 대조되는 한편 금석지감에 젖은 시인과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대비되면서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복잡한 심경을 담담하게 잘 나타냈다는 평을 듣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