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에 소염작용…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작용도

며칠 전에 사돈댁의 부음(訃音)을 듣고 문상(問喪)을 하고자 부랴부랴 고속버스에 올랐다. 바깥은 맹추위로 오가는 이들의 종종걸음으로 바쁘다. 지난밤에 살짝 내린 눈은 미끄럼을 더한다. 오후에는 서해지방에 폭설주의 예보가 내린 상태다. 날씨예보를 확인하듯 우중충한 하늘엔 눈발이 오락가락이다. 다행히 찻길은 지장이 없다.

오랜만에 타보는 서울행 고속버스다. 차창엔 김이 서려 뿌연하니 바깥 풍경이 희미하다. 이번 주에 이미 많은 눈이 내린 상태다. 지나치는 들판엔 눈 천지다. 을씨년스러운 논 가운데엔 겨울철 소먹이로 볏짚을 돌돌 말아 팽개쳐진 사료덩이가 군데군데 뒹굴고 있다. 요즘은 저런 모습도 흔히 보는 풍경이다.

연세가 많아 돌아가셨다니 자연사일 것이다. 심란한 마음이 지나치는 풍경만큼이나 어수선하다. 그렇게 가고오고 이어져 온 삶이 오늘의 나가 아닐까 싶다. 서울은 확실히 추위도 더하다. 장갑에 목도리로 중무장을 한 채 혼잡한 거리를 헤매다 겨우 찾은 장례식장은 산자락 아래로 한산하다. 울타리를 따라 지나치는 와중에도 풀섶에 눈이 간다.

병원 울타리의 측백나무 사이로 말라빠진 줄기 끝에 사방팔방으로 찌를 듯이 긴 침을 달고 도깨비바늘이 서 있다. 시골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풀이지만 도심 속에서 이 풀을 보기란 쉽지 않다. 이미 생명을 다하고 누군가의 접촉으로 그 바늘 같은 씨앗이 어디론가 옮겨지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는 것이다. 허리춤은 될 듯한 키가 이런 환경에선 사람에 붙어 옮기는 것이 제격이다. 그렇다고 다른 동물이 올 리는 만무다. 하필 한갓진 장례식장 울타리에 서 있으니 어느 세월에 본래 임무를 다할 것인지, 한 겨울에도 마른 줄기에 붙은 씨앗이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있는 풀의 번식력이 감탄스럽다.

이 풀은 산이나 들을 다니다 보면 그 씨앗이 언제 붙었는지 모르게 몸에 붙는다. 다른 야생화처럼 솜털을 달고 훨훨 날아 스스로 종자를 번식하는 것이 아니다. 동물이나 사람에게 붙어서 이동하며 씨앗을 퍼뜨린다. 도깨비처럼 어느새 달라붙어 옮겨 다닌다는 뜻으로 이름이 도깨비바늘이라 했지 싶다.

도깨비바늘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에서 잘 자란다. 키는 일 미터 정도 자라며 줄기는 네모지다. 잎은 마주 나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설상화(舌狀花)로 가지 끝과 줄기 끝에서 8∼10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길이 2㎝ 가량의 가시 모양이며, 끝에 갈고리가 달려 있어서 다른 물체나 동물의 몸에 잘 달라붙는다. 봄철에 어린 잎은 나물로 식용한다.

한방 자료에 따르면 이 도깨비바늘의 지상부를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귀침초(鬼針草)라 하여 약재로 쓴다. 알칼로이드, 탄닌, 사포닌 등의 성분이 들어 있고, 관절염에 소염작용이 현저한 약리성이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의 억제작용도 보인다. 그 효능으로는 열을 내리고 어혈(瘀血)을 풀면서 부기를 빼준다. 위장염, 이질, 복통 등에 쓰이며, 간염, 급성신우신염에도 달여 먹으면 치료효과가 있다.

<대전시 평생교육문화센터 강사>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