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6명 대형 재난 불안 ·스트레스
"안전 향상됐다"21%뿐 …불신 심각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선체 인양문제에 대해 ‘인양해야 한다’고 판단한 비율이 반대비율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인양에 대해 긍정한 응답자들은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밝혀줄 근거’등을, 부정한 응답자들은 ‘막대한 인양비용 부담’을 그 근거로 뽑았다.

국가안전지수를 묻는 질문에는 ‘그대로거나 되레 저하됐다’는 응답자 비율이 ‘향상됐다’는 비율보다 우세했다. 최근 잇따르는 대형사고에 대해 상당수 응답자들은 원인모를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다고 호소했다. 대전지역의 안전에 대해서는 안전하다는 평가가 비관적 평가보다 높은 대목이 눈길을 끈다.

금강일보가 연중기획 ‘100인에게 묻다’ 대전·세종·충남 모니터요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월호참사 1주기에 묻다’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세월호 선체인양에 찬성한 응답자는 전체의 81%, 반대한 응답자는 12%·모르겠다는 응답자는 7%로 나타났다.

세월호 인양에 대해 찬성한 응답자들은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밝혀줄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33명) ▲대형재난에 대한 당연한 국가의 책무기 때문에(25명) ▲9명의 실종자 수색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18명) ▲국가에 책임이 있는 대형참사기 때문에(5명) 등으로 의견이 갈렸다.

세월호 인양에 반대하는 응답자들은 ▲1000억 원이 넘는 막대한 인양비용 부담 때문에(7명) ▲시신 유실 등 인양시기를 이미 놓쳤기 때문에(4명) ▲인양 작업 중 사고위험이 크기 때문에(1명) 순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의 국가 안전지수에 대해 향상됐다(21%) 보다 그대로거나 되레 저하됐다(61%)는 평가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집계돼 여전한 불안감을 대변했다. 국가의 안전지수가 그대로거나 저하됐다고 평가한 응답자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인재가 연속해 발생했기 때문에(21명) ▲사회 전반의 안전망 부실 때문에(16명) ▲정부의 대책과 시스템 부재 때문에(14명) 순으로 불안요인을 지목했다.

세월호 참사가 남긴 불특정 다수의 간접적 트라우마도 읽혀졌다. 응답자들은 최근 연이은 대형 재난으로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 비율은 있다(60%)가 없다(26%)보다 월등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은 대형 재난이 인재(人災)로 귀결된 것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대전지역의 안전에 있어서는 비교적 안전하다(45%)와 보통이다(43%)는 비율이 안전하지 못하다(9%) 보다 높아 지역의 안전에 대해서는 호의적 평가가 많았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