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대<서울 주재>

강성대<서울 주재>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난파한 ‘새누리당호’를 순항으로 이끌까.

정 비대위원장은 그 첫 관문으로 혁신위원장에 김용태 의원(3선, 서울 양천구을) 임명하며 일단은 첫걸음을 시작했다. 정 비대위원장은 앞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단 간 청와대 회동에서 정무장관의 신설을 주장하며 선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나하나 해 나가는 모양새다.

정 비대위원장이 주장하는 정무장관 신설은 박근혜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법안의 원만한 국회 처리를 위한 포석이라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19대 국회에서 야당의 반대로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노동4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쟁점법안 국회 통과가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20대 국회에서도 이 같은 일을 최소화하기 위한 판단에서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청와대와 국회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정무장관 신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여기에 4·13총선에서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안상수·윤상현·유승민 등 7명의 인사들에 대한 ‘복당’도 20대 국회 원(院) 구성 전에 이뤄져야 한다는게 당 일각에서의 시각도 있다.

20대 국회에서는 제1당이 더불어민주당, 제2당이 새누리당, 여기에 제3당까지 출연하며 양당 체제에서 다당 체제로 변해 정부·여당 입장에서는 쟁점법안 처리가 더욱 난해해진 상황이다.

국회선진화법에서는 쟁점법안이 있을 때 안건조정위원회를 구성해 제1당 3명, 제1당 외 3명으로 동수를 만들어 조정하도록 했다. 즉, 더민주에서 3명, 새누리 2명, 국민의당 1명으로 야당 4명과 여당 2명이 안건조정소위를 운영하게 된다. 정부·여당으로서는 쟁점법안 처리에 난맥일 수밖에 없다. 국민의당의 눈치(?)를 봐도 본전인 상황이란 것이다.

정 비대위원장은 따라서 탈당파들을 놓고 “원 구성 전에는 복당은 없다”라는 의지도 중요하지만 원 구성 전 제1당의 위치를 찾는 것 또한 중요한 시점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