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량 증가 -> 처리비 증가 악순환
불법투기 중단·분리배출 준수 절실

▲ 시 곳곳에 설치된 쓰레기통. 대전시 제공

해를 거듭할수록 생활 쓰레기가 늘고 있다. 종량제 초기엔 발생량과 매립처리비용이 감소했지만 그 약발이 오래 유지되지는 않았다. 음식물 종량제까지 도입하는 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안간힘도 주민들의 외면과 ‘나 하나쯤이야’ 하는 얄팍한 이기주의 앞엔 속수무책이다. 쓰레기 없는 도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실천이라면 깨끗한 도시를 만들 수 있다. ‘클린 대전’의 첫걸음은 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조금만 신경쓰면 손에 닿을 클린 대전을 위한 실천가능 노력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1. 생활쓰레기 현주소-의식 전환 절실
2. 무단투기 더 이상 안된다
3. 올바른 쓰레기배출이 답이다
4. 왜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야 하나
5. 쓰레기도 자원이다

대전시의 최근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늘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지난 2013년 1301.7톤에서 지난 2014년 1257.2톤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1283.3톤으로 다시 증가 추세다.

최근 3년간 추이를 보면 전체 생활쓰레기 중 재활용품은 거의 늘지 않는 반면 매립쓰레기가 늘어나는 문제를 표출하고 있다. 재활용품 비중은 지난 2013년 842톤에서 지난 2014년 797.1톤으로 감소하고 지난해 842.3톤을 기록했다. 큰 틀에선 크지 않은 변화다. 다만 이 기간 매립쓰레기는 지난 2013년 204.6톤에서 지난 2014년 183.4톤, 지난해 216.5톤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음식물 폐기물도 371.8톤, 359.3톤, 376.3톤이 발생해 매립쓰레기의 연도별 증감 추이와 맥을 같이했다.

쓰레기 종량제에도 불구하고 쓰레기는 점점 많아지는 반면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분리배출에는 소극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땅에 묻어야 하는 쓰레기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쓰레기가 늘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분리배출에 있다. 종이와 플라스틱만 잘 분리해서 버려도 쓰레기를 절반 이상 줄이고 자원도 확보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유발된다. 종량제 봉투 속 쓰레기 중 상당수가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라는 얘기다. 더불어 1인 가구가 늘어나는 것도 쓰레기 발생을 부추기고 있다. 가구원 수가 줄어들수록 한 사람이 버리는 쓰레기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경향 때문이다. 1인 가구의 생활방식 변화가 쓰레기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셈이다.

버리는 손이 많을수록 당국의 고민은 깊어진다. 끊임없는 단속과 계도에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탓이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당국의 ‘쓰레기 다이어트’를 위한 노력이 눈물겨운 이유다. 대전시 역시 생활쓰레기 줄이기에 고삐를 죄고 있다. 우선 쓰레기 불법투기 단속 및 사전예방을 위해 음성안내, LED 문자표출 안내, 야광라이트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홍보로 주민들의 의식을 바꾸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1인 가구증가에 따른 원룸촌 쓰레기 불법투기 방지 및 분리배출에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 영상홍보물 제작·상영하는 등 지속적인 홍보를 펼치는가 하면 관내 공동주택, 자치구별 10대씩 음식물쓰레기 RFID 기반 종량기 설치로 세대별 배출량 계측을 통한 공동주택의 실질적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유도하는 등 쓰레기 줄이기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한 사람이 내놓는 쓰레기가 증가하고 재활용 분류가 잘 이뤄지지 않는 등 환경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해 쓰레기 줄이기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종량제 정착과 무단투기 방지 등 쓰레기 감량 정책에 덧붙여 무엇보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실천이 요구된다”고 호소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