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진성 사회부 기자

지난 19일 오후 서울 강북의 오패산 터널 앞에서 사제총기를 난사한 남성에 의해 출동 경찰관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갑작스런 비보를 맞이한 경찰 사회는 비통의 정서가 느껴졌다.

제71회 경찰의날(10월 21일)을 이틀 앞두고 발생한 이 같은 사건에 대전지역의 경찰관서도 침통한 분위기 속에서 ‘경찰의 날’ 관련 행사를 취소하거나 축소하는 모양새다. 타 지역에서 발생한 일이긴 하지만 ‘경찰관의 안타까운 죽음’이 공권력의 위기와 맞물려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는 공감의 정서가 읽혀진다.

1945년 10월 21일 경찰 창설 이래 71번째를 맞이한 경찰의 생일은 그래서인지 어느 때보다 무겁고 착잡한 분위기 속에 맞이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경찰의날 경북의 한 파출소에 근무하던 경관이 10대 청소년을 구하려다 열차에 치여 숨졌던 터라 애통함의 깊이는 더했다.

대한민국 경찰의 이름으로 순직한 경찰관은 1만 3704명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지난 19일 또 한명 의로운 경찰이 범죄에 맞서다 귀한 생명을 잃었다. 안타까운 것은 이들의 죽음 중 상당수는 좀 더 면밀한 안전대책과 보호장구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다면 막을 수 있었다는 데 있다. 지역 경찰의 상황도 열악하기는 마찬가지다. 대전경찰은 개청이래 500여 명의 공상자가 발생했다. 순직자가 없는 것은 천만 다행스런 일이지만 현재와 같은 열악함 속에서 경찰관의 생명을 그저 천운에 맡길 수 만은 없는 노릇이다.

경찰의 안전 대책을 촉구하는 내부 목소리는 그래서 따끔한 죽비소리로 다가온다. 경찰대 교수부장 황운하 경무관이 자신의 SNS에 남긴 “시민을 위해 국가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이 충분히 존중받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공동체를 유지·발전시키는 도덕적 건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정치적 경찰들은 자신만을 위해 뛰던 노력을 절반이라도 투자해 현장 경찰관에게 위험수당·심야근무 수당 등이 지급 될 수 있도록 뛰어야한다. 경찰수뇌부는 경찰관의 안전대책 마련에 더 골몰해야 한다”는 말은 경찰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 공감 있는 말로 다가온다.

‘시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뛰는 경찰의 땀과 헌신은 안전한 사회를 이루는 바탕이 됐다. 이제 시민을 지키기 위해 뛰는 경찰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지 않을까. 제 71회 경찰의날이 그 출발점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