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계란, 배추, 무 등 이른바 ‘밥상물가’ 오름세가 새해에 들어서도 그칠 줄 모르고 있다. 경기악화로 가계소득은 뒷걸음질 치고 있는데 밥상물가는 오르고 있으니 총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 비중을 의미하는 엥겔계수가 상승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에 맥주, 과자, 탄산음료 등 기호식품들까지 오르면서 서민들의 생활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AI(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계란값이 천정부지다. 30개 한 판에 1만 원을 넘기면서 가계는 물론 식료품을 판매하는 소상공인들의 한숨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배추와 무를 비롯해 당근, 마늘 등 신선제품과 고기 등 밥상에 필수적으로 올라가는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서민들의 생필품이라고 할 수 있는 라면값은 이미 지난해 올랐다. 맥주의 출고가도 오른 가운데 올해부터 소주와 맥주의 빈 병 보증금이 인상되면서 술집에서 판매되는 소주와 맥주값이 일제히 인상되는 분위기다. 게다가 국수와 식용유, 아이스크림 등도 모두 올랐다. 오르지 않는 것이 없다고 할 정도로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고 있는 것이다.

가뜩이나 없는 살림에 허리띠를 졸라맨 저소득층의 부담이 한층 심화되면서 엥겔계수는 상승추세다. 소득하위 20%(소득 1분위) 계층의 소비지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식료품 등에 지출한 금액은 오히려 늘었다. 경기악화로 의류, 문화 등의 씀씀이는 최대한 줄였지만 필수품인 먹거리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새해 벽두부터 이어지는 식료품 가격의 오름세를 감안하면 엥겔계수는 당분간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설을 앞두고 제수용품 가격들이 일제히 오르면서 서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과연 정부가 서민들의 생활고충을 제대로 알고는 있는지 의심스럽다. 최순실 사태로 인해 정국이 혼란해진 여파로 당국의 물가관리가 느슨해진 틈을 타고 기업들이 어물쩍 물품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팔짱만 끼고 있다.

물론 정부가 아무런 근거도 없이 기업들의 물가 인하를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렇지만 관련 기업들의 가격담합이나 독과점의 부당 인상에 대한 관리는 정부 당국의 몫이다. 일각에서는 요즘 계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는 것은 중간상인들의 매점매석이 더 부추기고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팔짱만 끼고 바라만 보고 있지만 말고 이런 것들에 대한 철저한 감시·감독을 통해 물가인상 분위기를 잡아야 한다. 비록 대통령 권한대행체제이지만 민생문제만큼은 제대로 챙긴다는 자세로 물가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