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보고서, 2015년 亞 12개국서 1천230만t…5년 전보다 63%↑

▲ 버려진 휴대전화와 키보드[AFP=연합뉴스 자료사진]

값싼 전자기기의 등장과 무분별한 전자제품 소비로 아시아 지역에서 '전자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6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유엔대학은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아시아 지역 12개국의 전자 쓰레기 발생량이 총 1천230만t에 달했다며 이는 5년 만에 무려 63%나 급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유엔대학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아시아 주요 12개국의 연도별 전자 쓰레기 발생량을 추산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특히 소득증대와 함께 저가 전자제품 생산이 급증한 중국에서는 전자 쓰레기 발생량이 2배 넘게 늘었다.

보고서가 추정한 중국의 2015년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670만t으로 5년 전 300만t의 갑절 이상이 됐다.

중국 다음으로 전자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나라는 일본(223만t), 한국(83만t), 인도네시아(81만t), 베트남(45만t), 대만(45만t) 순이었다.

인구 1명당 기준으로는 홍콩이 21.7㎏으로 가장 많았고, 싱가포르와 대만이 19㎏으로 뒤를 이었으며,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의 1인당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약 1㎏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과거에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이 선진국에서 폐기된 전자제품 투기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아시아가 전자 쓰레기 발생지역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아시아 국가의 경제 발전으로 부유한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휴대전화와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와 냉장고, TV 등 백색 가전 소비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 가운데 전자 쓰레기 폐기에 관한 규제가 존재하는 국가는 많지 않다.

한국과 대만, 일본 정도가 1990년대 제정된 관련법을 근거로 전자제품 재생 관련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보고서는 "아시아의 소비자들은 이제 전자기기를 자주 교체한다. 더욱이 많은 제품이 저가에 생산되지만, 수리나 리퍼브(재단장), 재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따라서 각국 정부가 전자 쓰레기를 관리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관련 규제를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수은과 납이 포함된 전자부품의 무단 투기, 구리 등을 추출하기 위한 전자제품 소각, 귀금속 추출 분리 등이 만연하고 있다.

보고서는 "전자제품의 무단 소각과 재생은 관련 종사자는 물론 인근 지역 주민에게 불임, 발달장애, 폐 기능 장애, 간과 신장 손상, 유전적 장애, 정신 건강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루디거 케르는 "실제 전자 쓰레기 통계는 각국 정부가 발표하는 것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며 "이 보고서가 정책 입안자와 소비자에게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전자제품을 통해 편안한 생활을 누린다. 그러나 이런 생활을 지속하려면 제품 속에 남아 있는 자원을 재활용해야 한다"며 "실제로 휴대전화에는 주기율표에 나오는 원소의 절반가량이 쓰이고 이 가운데는 아주 희귀한 것도 있는데 재활용되지 않으면 고갈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