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주 안에서 빛이라

세상을 밝히는
빛의 자녀 되었지만

나 혼자선
선(善)을 행할 수가 없었네

등잔 없인
등불 켤 수 없듯이

심지 없인
등잔불을 켤 수가 없었네

도움 없인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나

‘모든 것이 협력(協力)하여
선(善)을 이루라’

세미한 음성 듣고
깨닫기까지는

세상을 밝히는
빛의 자녀 되었지만

나 혼자선
빛을 밝힐 수가 없었네

“우리가 맛있는 빵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빵 가게 주인의 자비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면서 행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애덤 스미스(Adam Smith)는 ‘국부론’에서 “우리는 가게 주인의 휴머니티가 아니라 그들의 이기심에 호소하는 것이며, 우리 자신의 필요에 관해서가 아닌 그들의 이익에 관해 말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분업(分業)이 자유시장경제를 통해 협업(協業)으로 바뀔 때 국부(國富)가 창출된다는 그의 철학은 지극히 성경적이다.

새해가 되면 유일하게 나이를 먹는 민족이 한민족이다. 떡국을 먹어 나이를 먹고, 작심삼일(作心三日)이긴 하지만 마음까지도 먹는 강인한 민족이다. 그런데도 지난 한 해는, 경제는 관심에서 사라지고 촛불정치가 화두가 된 한 해였다. 올 한 해는 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지도자들이 먹는 문제에 촛불을 밝히는 한 해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런 먹는 문제가 사랑으로 확산될 때, 우리는 비로소 사랑을 먹고 사는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한솥밥을 먹는 공동체를 우리는 식구(食口)라고 한다. 기독교에서는 식구임을 확인하는 공동체의식으로 성찬식(聖餐式)을 행한다. 빵와 포도주를 먹고 마시는 의식(儀式)을 통해 예수님의 사랑이 참여하는 회중에게 발현(發顯)되기 때문이다.

“함께 식사를 함으로써 남과 맺어지는 일체감, 그리고 공동체와 융합되는 원리는 오늘날 회사를 의미하는 ‘컴퍼니(Company)’라는 말에서도 쉽게 읽을 수 있다. ‘컴(Com)’은 ‘함께(With)’, ‘퍼니(Pany)’는 ‘빵(Panis-bread)’이라는 뜻이다. 어원대로 하자면 컴퍼니는 회사의 일터이기에 앞서 함께 빵을 먹는 식탁이다. ‘캠페인’이란 말, 혁명가들이 애용하는 ‘컴페지언(동지)’이란 말 모두 같은 뜻에서 파생된 말이다.

정유년 새해에는 지도자들이 욕을 먹는 한이 있더라도 먹는 문제를 해결하는 경제정책에 우선순위를 부여해 궁극적으론 사랑을 먹는 건강한 공동체로 우리 사회가 거듭나길 이 아침 두 손 모아 간절히 기도해 본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