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적인 ‘후진국 병’으로 알려진 결핵이 좀처럼 사그라지고 있지 않고 있다. OECD 가입국 중 결핵발생률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을 정도다. 이에 관계 당국은 결핵예방과 대처요령에 대한 홍보캠페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선 결핵환자관리 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직접 복약확인치료 관리시스템(DOT)이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전염성 결핵을 보유한 한 대전의 어린이집 교사가 원생과 접촉 후 결핵 판정을 받아 큰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보건 당국은 대전 지역 모든 어린이집 교사의 건강검진 항목에 결핵검진을 추가로 받게 하는 등 관리·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유성구 한 어린이집 교사 정소영(29·여) 씨는 “결핵검진 대상자는 보육교사지만 원생들을 위함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겐 더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검진을 의무화한 것은 올바른 대책이라 생각한다”며 “정부에서 검진비용도 일부 지원한다고 하니 조금은 마음이 편안하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주 이상 기침하면 결핵검사’라는 문구를 내세워 올바른 기침예절실천과 결핵을 바로 알고 대처하는 방법 내용이 담긴 팸플릿과 홍보영상을 제작해 적극 홍보에 나섰다. 대한결핵협회는 매년 결핵퇴치를 위해 그 심각성을 알리는 한편 결핵에 대한 인식개선 등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크리스마스 실을 발행하고 모금운동을 전개한다. 이 같은 계도활동은 지역사회에서도 펼쳐지고 있다. 대전 유성구 보건소는 자체적으로 결핵예방의 날, 보건의 날에 캠페인을 진행하고 온라인·SNS를 통해 결핵예방을 적극 홍보 중이다.

결핵으로 인한 전국 사망자수는 매년 2300여 명 수준이다. 일각에선 결핵환자관리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던지고 있다.

결핵치료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약물치료 및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질환 자체의 특성상 초기 1~2개월의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 그 이후 환자가 스스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불규칙적인 복용을 할 확률이 높다. 불규칙적인 약물 복용이나 치료 중단은 치료실패와 약물내성 결핵으로 진행돼 사망률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결핵전문가들은 지난해 12월 국립중앙의료원이 진행한 ‘다제내성 결핵환자 관리방안 모색 토론회’에 참석해 DOT(Directly Observed Therapy)를 강화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DOT는 WHO에서 권장하는 ‘직접 복약확인치료’ 관리시스템으로 환자가 결핵에 진단되면 즉시 DOT 요원이 결핵치료를 완료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방문해 약물 복용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결핵은 결코 무시할 대상이 아니라고 경고한다.

대전 선병원 호흡기내과 김광민 과장은 “결핵은 시간이 지날 수로 전염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나뿐만 아니라 가족을 고려한다면 막연히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 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며 “결핵 의심증상이 있다면 곧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재인 수습기자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