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활성화 대책으로 ‘금요일 조기퇴근’을 내놓은 가운데 실효성 없는 정책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곤 과도한 업무로 6시 퇴근도 어려운 상황에서 조기퇴근은 회사 매출과도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에서다.

정부는 23일 내수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매월 한 번의 금요일을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지정, 오후 4시에 조기퇴근 하는 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모자라는 근무시간은 월-목요일 30분씩 초과 근무로 보충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실제로 지난해 10인 이상 30인 미만 중소기업의 유연근로제 도입률은 15%에 불과하다.

전체 고용의 88%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청년 실업이 문제라고 하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선 오히려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 이런 상황에서 조기퇴근이 가능이나 할지 의문스럽다.

대전에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김 모(36) 씨는 “솔직히 대기업에서도 일부만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 같은 중소기업에서는 배부른 소리”라며 “정부가 어떤 인센티브를 제공할지 모르겠지만 인력도 부족한데 정해진 납품기한에 맞추기 위해 평상시도 6시 퇴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퇴근한데 해도 AI 등으로 물가가 오른 마당에 어디가서 돈을 쓰라는 소린지 모르겠다”며 혀를 찼다.

누리꾼들의 반응도 싸늘하다.
(plas****) “돈만 있음 12시에 끝나도 팍팍쓴다 시간이 없어서 못쓰겠냐? 돈이 없어 못쓰겠냐?”, (nigh****) “아니 월급이 그대로인데 4시에 퇴근해도 돈쓰러 나가겠냐??”, (ehhd****) “공무원도 민원 때문에 4시에 퇴근 못 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