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전세가율이 무섭게 상승하고 있다. 전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역부족인 상황에서 세종이 정부 부동산대책 지역으로 지정된 데 따른 반대급부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6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대전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전세가율)는 75.9%로 광역시 중 77.7%를 보인 인천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대전 전세가율은 지난해 9월 74%를 찍은 뒤 10월 74.3%, 11월 75.1%, 12월 75.4%를 보이는 등 계속해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 대전 서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전세가율이 크게 올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시자료를 보면 관저동 구봉마을 9단지 전용면적 60㎡는 평균 매매가가 1억 3000만 원이지만 전세가는 1억 1000만 원으로 전세가율이 85%에 달한다. 또 갈마동 경성큰마을 60㎡는 매매가가 1억 8000만 원이지만 전세가는 1억 6250만 원으로 전세가율은 90%를 넘었다.

수요와 공급의 기본원리 측면에서 전세가율 상승은 전세 공급물량의 부족을 의미한다. 도안신도시 개발로 대전의 신규 아파트 분양에 대한 수요는 충분히 확인됐지만 분양만 진행됐을 뿐 대규모 입주 물량은 아직 나타나지 않아 전세 공급 자체가 부족하다. 여기에 정부 부동산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도 작용하고 있다. 11·3 부동산대책 이후 투자자들이 세종을 뒤로하고 대전으로 몰린 것도 전세가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정부는 세종을 부동산과열지역으로 보고 전매제한 등을 적용했는데 세종에서 아파트를 통해 수익을 내기 힘들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대전으로 몰렸다는 분석이다. 부동산대책이 실시된 지난해 11월 대전의 전세가율은 전월보다 약 1%포인트나 올랐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대전의 전세가율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와 내년 대전의 입주 물량은 전국 전체 물량의 3.9%에 불과한 수준이어서 단기간 내 전세 공급량이 맞춰지긴 힘든 상황이다. 이 같은 배경이 반영되면서 대전의 전세가 전망지수(KB부동산)는 106.4를 기록했다. 전세가 전망지수(범위 1~200)는 100을 넘으면 상승세를 전망하는 공인중개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 이하면 그 반대를 뜻한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아직까지 대전 서구와 도안신도시가 있는 유성구는 학군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리하고 전세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지역으로 꼽혀 투자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부동산대책 영향을 받은 세종으로 인해 대전의 전세가는 앞으로도 더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