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사상 처음으로 헌재에서 대통령이 탄핵됐다.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무역보복조치로 수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에서는 기회만 있으면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자고나면 연일 메가톤급 빅뉴스가 언론의 메인을 장식하다보니 손톱 밑 가시에 무감각해진 부여군.

지난 2월 말 기준 부여군의 인구는 7만이 무너져 6만 9964명이 됐다.<본보 2월 15일 14면 보도>

이용우 부여군수가 취임했던 지난 2010년 7월 민선5기 출범당시 부여군 인구는 7만 5821명이었다.

재임 6년 8개월 동안 5857명(7.7%)의 인구가 감소했다.

월 평균 73명의 인구가 감소했다는 산술적 통계가 성립된다.

여기에 2010년 7월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만 8783명으로 전체인구의 24.7%를 차지했었고, 지난 2월 65세 이상의 인구는 2만 896명으로 전체인구의 29.8%를 점유하고 있다.

동 기간 전체인구 중 고령화는 5.1%가 증가해 도시전체가 현저히 노후화 되고 있음이 통계가 증명하고 있다.

대부분 농도인 기초자치단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치부하면서 메가톤급 빅뉴스에 편승, 두루뭉술하게 넘어가려는 부여군의 안일함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지난 2013년 당시 통계의 추이로 예측한 바에 의하면 부여군은 인구 7만 붕괴시점이 2017년 말로 예상이 되었다.

그러나 거의 1년여가 앞당겨져 인구가 7만이 무너진 것은 인구감소의 가속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군에서는 뾰족한 수를 내놓지 못하고 앵무새처럼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하고 있다.

기업을 유치하고, 귀농·귀촌을 적극지원하며… 등등.

이유를 불문하고 훗날 이용우 군수는 이 같은 상황을 어찌 해명할지?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처럼 작금의 상황에서 부여군 인구감소는 자치단체장으로는 구제할 수없는 것인가.

이용우 군수는 기자회견이라도 열어 군민들에게 사과문에 가까운 ‘호소문’이라도 발표하고 위기에 직면한 부여군 인구문제를 공동의 문제로 확대함이 올바른 방향이 아닐까?

마케팅의 구루(어둠을 없애는 사람)로 불리는 필립 코틀러(미국 노스웨스턴대 켈로그경영대학원 석좌교수)는 그의 저서‘CSR 마케팅’에서 빈곤퇴치를 위한 해법으로 “공통의 목표에 동의하라.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라, 서로 존중하고 감사하라. 협상하고 타협하라. 소통하라. 책임 체계를 구축하라. 결과를 측정하고 보고하라”고 제시했다.

비록 가난과 인구라는 서로 다른 명제의 접근 방법이기는 하나 큰 틀에서 해법 모색이 불가능에 가까운 난제라는 공통점 앞에 이 같은 이론을 도입하면 어려운 해법을 보다 광범위하게 접근하는 방법으로 국가와 기업 등 모든 조직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

kis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