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중국 정부가 지난 15일부터 ‘한국 단체관광 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대전시가 중국 시장에 초점을 맞춰 온 의료관광에 대해 MICE 연계 의료관광 상품 개발 등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은 상황이다. 당장 눈앞의 단체의료관광 유치조차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본보 3월 7일 3면 보도>

16일 시에 따르면 지난 7일 의료관광 관련기관 대책회의를 거쳐 9일 의료관광 방향 재설정을 위한 관련기관 대책회의를 했고, MICE 연계 의료관광 상품 개발을 통한 지역 내 외국인 및 자연유입 외국인 마케팅 활성화에 중지를 모았다.

시는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의료관광 유치 활동 등에서 난관에 봉착했다. 중국 단체 의료관광객 상품 운영부터 불똥이 떨어졌다. 시는 지난 2015년부터 여름·겨울방학 특수를 겨냥, 중국 단체 의료관광객을 유치해 왔다. 그해 60명(2회)에 이어 지난해 548명(4회)으로 대폭 확대됐고 올해 1, 2월 261명 유치에 성공하면서 물살을 탔지만 추진이 불투명한 것이 문제다. 일단 정공법을 구사키로 했다. 시는 내달 9일 계획된 중국 산동성과 하북성, 하남성 등 현지 마케팅은 그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한·중 관계가 회복될 때를 대비해 홍보와 마케팅을 유지한다는 포석에서다.

문제는 중국 전담 국내여행사들이다. 신규예약은커녕 이달부터 오는 6월까지 예약된 의료관광 대부분이 취소되는 등 당장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금지령’에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향후 여건 회복 시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직 의료기관은 개인위주(FIT) 치료목적 방문으로 외국인 환자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진 않지만, 단체관광객 위주의 건강검진 등 중국 의료관광객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중국 의료관광 시장은 타격을 받고 있지만 다변화를 위해 러시아와 CIS(독립국가연합), 베트남 등 해외 시장의 문을 적극적으로 두드리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중국인 환자는 성형수술 등 일회성 방문 비중이 높은 반면,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는 노년층을 중심으로 근골격계 질환, 암 치료 등 비용이 많고 지속적인 방문이 필요한 환자가 많다”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시스템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