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교육을 통해 폐허를 딛고 당당히 선진국으로 일어선 나라이다. 세계 최빈국이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으니 교육의 힘을 부정할 수 없다. 자국민뿐 아니라 세계인들이 모두 한국의 교육열이 현재의 잘 사는 나라를 만들었다고 극찬한다.

하지만 교육으로 일어선 나라가 이제는 교육으로 망할 위기에 몰려있다. 지나친 사교육으로 가정경제가 무너지고 있고, 아이들은 심한 스트레스로 쇠약해지고 있다. 어디가 끝인지 모를 사교육 경쟁이 날로 심화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지만 부모들의 극성은 그치지 않는다.

정부도 과도한 사교육 경쟁을 자제시키기 위해 다양한 대안을 만들어 시행해 봤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다수의 국민들은 지금과 같은 사교육 지상주의에 대해 개선해야 한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내 자식만큼은 예외로 사교육을 시켜 남들보다 앞서는 삶을 살게 하겠다’는 의식은 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모의 나약한 심리를 파고들어 학원들은 신바람이 났다. 선행교육이란 상품을 만들어 앞 다퉈 판매하고 있다. 선행교육 상품을 판매할 때는 반드시 부모들의 약한 마음을 교묘하게 활용한다. ‘남들 다 하는데 혼자만 안 하겠느냐’는 식으로 불안감을 자극해 등록하도록 유도한다.

초등학생에게 중학교 교과과정을 가르치고, 중학생에게는 고등학교 교과과정을 가르친다. 심지어는 초등학생에게 고등학교 교과과정을 가르치기도 한다고 한다. 상식적으로 들으면 헛웃음이 나올 만한 말이지만 이 같은 상황은 실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더욱 기가 막힌다.

돈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세상이다. 돈을 많이 벌어 학원을 많이 보내면 부모로서의 도리를 다 했다고 생각하는 세태가 개탄스럽다. 반대로 돈이 없어서 학원에 많이 보내주지 못하면 부모의 도리를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회풍토가 납득되지 않는다. 어쩌다 우리나라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안타깝다.

과거와 비교할 때 아이들은 심각한 체력 저하와 자기결정권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점을 기성세대들은 잘 알고 있지만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어 보인다. 의지가 없다기보다는 ‘내 아이만큼은 예외이다’라는 이기심이나 불안감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너무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성현의 말씀을 되새겨봐야 한다. 아이를 인격의 주체로 보지 않고,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는 우리사회의 독특한 문화도 선행학습을 필두로 한 사교육 시장 팽창을 유지시키는 이유가 되고 있다. 부모가 한발 물러서 지켜봐주면 아이는 한발 앞서 자신의 길을 헤쳐 나간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