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

어쩌면 3년 전 해결했어야 할 일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보면 무거운 책임감도 느낀다. 갈등과 논란만 키웠지 3년이 지난 지금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으니 말이다. 최근 일만 따져서 그렇지 최근 20년 동안 지속된 논란이기도 하다.

사실 지역 주민들 입장에서야 무슨 논란이 되고 있는지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일부 인터넷 매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언론이 침묵하고 있다. 다른 사안에 비해 외부로 알려진 바도 거의 없다. 굳이 외부로 알려지길 바라지도 않을 것이다. 언론계 내부와 직접적인 당사자인 충남도, 이를 지켜보는 공직사회에서만 설왕설래 논란이 확산되고 있을 뿐이다.

최근 충청남도 기자실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기자실 개혁 논란이 그 대상이다. 아직 공직 발표가 이루어지기 전이지만 이미 공론화가 돼 버렸다. 충청남도는 최근 그 동안 5층에 유지했던 기자실을 1층으로 옮기려 하고 있다. 기자실 이전과 함께 현재의 일부 출입기자들의 고정형 좌석 배정 방식의 기자실 운영에서 탈피해 지정 좌석이 없는 통합형 브리핑룸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대전충남민언련 같은 시민사회의 경우 충남도의 계획을 환영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지난 십수 년간 폐쇄적이고, 일부 언론의 특권을 보장하는 기자실 운영에 반대해 왔기 때문이다. 지역 언론과 주요 출입처인 자치단체와의 유착, 혹은 잘못된 언론 관행을 개혁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 같은 활동에 힘입어 충남지역 기초 자치단체의 기자실이 폐쇄되고,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전환이 이루어 진 사례도 있다. 전국적으로도 폐쇄적인 기자실 운영에서 탈피해 통합형 브리핑룸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충남도의 이 같은 통합형 브리핑룸으로의 전환 소식이 알려지자 기자단 내부에서 반발이 거센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행 기자단 운영의 중심에 있는 기자협회 회원사 중심의 기자단의 경우 충남도의 통합형 브리핑룸으로의 전환이 일방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충남도의 개방형 브리핑룸으로의 전환을 둘러싼 논란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현재 200여 명이 출입하고 있는 출입기자단의 현실을 볼 때 일부 기자협회 회원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출입기자단 운영이 지나치게 폐쇄적이고, 독점적인 사용으로 인한 특권적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른 하나는 지역언론의 난립구조 속에 지나치게 많은 기자들의 출입으로 인해 기자단의 위상을 추락시키는 행태들이 발생하고 있어 문제가 있는 언론의 출입을 걸러내기 위해서라도 출입기준을 명확히 하고 선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양측의 주장이 어느 한쪽이 무조건 잘못됐다고 볼 수는 없다. 두 주장 모두 현재 우리 지역 언론에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이 그대로 담겨 있기 때문이다.

안타까운 점은 기자실 논란이 재현될수록 지역 언론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신뢰를 더욱 추락한다는데 있다. 가뜩이나 언론, 지역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나쁜 상황속에서 어떤 이유를 대든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하느냐, 새로운 기득권에 편입되느냐는 식의 기자들의 이권 다툼으로밖에 비쳐지지 않기 때문이다.

충남도 기자실은 충남도민의 알권리 보자을 위해 언론의 취재, 보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지원하는 공간이다. 언론사 기자들의 특권이 보장되어서도 안되고, 기자실 운영을 독점적으로 해서도 안된다. 기자실 논란에서 배제된 충남도민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

충남도청 기자실 논란의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기자단 마음대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 지역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적절한 기자실 문제 해법을 찾고, 충남도와 기자단이 이를 수용하면 된다. 기자단이 해야 할 일은 추락한 지역주민의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 고민하는 게 먼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