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반세기 전만해도 고등교육은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다. 대학은 고사하고 고등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은 국민이 불과 10% 미만인 시절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고교 졸업자의 7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대가 열렸다. 전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진학률은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현실이다.

과거에 고등교육을 받은 국민의 수가 지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던 것은 국가의 재정이 빈곤해 국민들의 교육받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고, 국민 개개인도 경제적 어려움이란 제한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수의 국민들은 의무교육 수준에서 멈춰서 더 이상의 학업을 받을 수 없었다.

대학을 졸업한다는 것은 지성인으로 취급받는 절대 조건이 되고 대학졸업장은 취업의 보증수표 역할을 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 대학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충족된 시대가 됐다. 누구라도 배울 수 있고, 누구도 그 배우고자 하는 열정을 막을 수 없다.

정부는 이러한 시대 상황에 부응하고자 성인학습자들을 위해 2016년부터 평생교육 단과대학 제도를 도입했다. 평생학습 단과대학 도입은 여러 의미를 갖는다. 더 이상 대학교육이 특정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며 국민 누구라도 참여하고 누릴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뜻하는 것이다. 소위 전 국민 평생학습 시대의 진정한 개막이다.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이 속출하고 있다. 앞으로 남아도는 학습 공간, 교수 인력을 활용할 방안을 찾지 못하면 막대한 국가적 낭패를 보게 된다. 어차피 앞으로의 대학은 평생교육과 궤를 맞춰 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런 면에서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변화하고 있다.

평생학습의 개념도 이제 더 성숙할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껏 평생교육은 공공부문이 중심이 돼 시간과 경제적 여유를 갖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 및 교양교육이나 취미교육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앞으로는 평생교육이 더 전문화 되고 직업, 직무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수준으로 향상돼야 한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학위과정 외에도 다양한 학점과정과 자격과정 등 각종 성인학습과정을 함께 운영하게 된다. 성인학습자만을 위한 별도학과는 이론교육뿐만 아니라 기본역량과 직무역량도 함께 키울 수 있는 교육을 한다. 평생학습 시대의 도래는 피해갈 수 없는 대세이다.

정부는 국민의 평생학습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은 헌법에도 명문화 돼 있다. 대학졸업장이 특권인 시대는 지났다. 국민 누구라도 나이에 상관없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은 정착돼야 한다. 교육을 통해 실현하는 복지가 가장 근본적 복지라는 점을 온 국민이 인정해야 한다.

<김도운 논설위원>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