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 부채액 3684만 원에서 4686만 원으로 급증
다중채무자,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고위험가구수도 늘어나

가계부채가 1400조 원을 넘어서면서 가구당 평균 부채액이 1000만 원 오른 4686만 원으로 나타났다.

20일 자유한국당 심재철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7년 6월 가계부채(한은 가계신용 기준)는 1388조 원이었다. 더불어 금융위와 금감원의 가계대출 속보자료에 따르면 7월 가계대출액은 9조 5000억 원, 8월 8조 8000억원 을 각각 기록했다. 이를 합산해보면 2017년 8월 기준 가계부채는 1406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는 2012년 905조 원, 2013년 960조 원, 2014년 1025조 원, 2015년 1138조 원, 2016년 1269조 원으로 해마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905조 원에서 1406조 원으로 총 55.3% 증가했다.

이 같은 가계부채 증가세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5월 10조 원, 6월 7조 8000억 원, 7월 9조 5000억 원, 8월 8조 8000억 원으로 문 정부 출범 이후 4개월 동안 가계부채는 총 36조 1000억 원이 증가했다.

2016년 한은이 발표한 한국의 GDP(국내총생산) 규모는 1637조 원임을 감안해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가구당 평균 가계부채액도 2012년 3684만 원에서 지난 2016년에는 4686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급증함에 따라 소비와 경제성장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가계금융복지조사(2016년) 결과 원리금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가구가 전체의 70%에 달하고 이 중 약 75%는 가계부채로 인해 소비지출 및 저축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이용하거나 저소득(하위 30%),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차주의 가계부채액도 2012년도 84조 8000억 원에서 2015년 73조 5000억 원으로 줄었다가 지난 2016년 78조 5000억 원, 올해 2017년 6월 80조 4000억 원으로 대출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자산평가액 대비 부채비율(DTA)이 모두 100을 초과하는 고위험가구수도 2014년 30만8000 가구에서 2016년 31만 5000가구로 늘었으며 이들의 금융부채액도 2014년 54조 9000억 원에서 2016년 62조 원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재철 의원은 “정부의 잇따른 가계부채 종합대책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부채 구조도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가 추진하겠다는 소득주도 성장이 아니라 다각적인 경제활성화 정책으로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해 가계부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인 기자 jji@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