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회의실에서 지난 12일 강정리 폐기물에 관한 소위원회가 열렸다.

이날 소위원회는 주민회의 참석을 요구하는 강정리 주민 3명을 배석거부로 퇴장시켰다.

이에 주민 3명은 소위원회가 열리기 전, 참석 주민대표로 강정리 사태의 변질된 모순됨을 강하게 주장하고 퇴장했다.

이들 주민대표들은 “강정리 사태로 만들어진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가 지금까지 누구를 위한 회의이며 해결된 일이 무엇인가”라며 “그동안 권혁호 전 주민대표와 이상선 시민연대 대표는 강정리 주민들의 입과 귀를 막아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에서 주관한 안건을 하나도 알지 못하고 지내고 있었다”라며 주민의 뜻을 반영하지 못하는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는 강정리 주민에게 아무짝에도 필요 없는 조직일 뿐이라며 불쾌한 견해를 밝히고 돌아섰다.

3년여간 긴 투쟁으로 주민들은 마음이 병들고 황폐해져 이제 웃을 기력조차 없다고 말한다.

주민의 건강과 환경오염을 막아 보자는 순수한 의도(?)는 간 곳 없고 충남도에는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라는 조직만 존속돼 오고 있다.

안희정 도지사는 몇 해 전 강정리 방문해 ‘주민들과의 대화에서 빠른 시일 내 주민들이 원하는 입장으로 해결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는 이제 공허한 메아리가 됐다.

주민들은 지쳐 있다. “이제 전 반대추진주민대표도 시민연대 대표도 강정리 문제에 관여하지 마라”는 입장을 분명히 전하고 있다.

충남도와 청양군은 많은 시간과 재정을 헛되이 낭비했지만, 이제 강정리 문제는 주민이 알아서 해쳐나갈 수밖에 없다는 주민들의 깊은 뜻을 알아줘야 할 때 온 것 같다.

3년여 긴 시간 동안 붉은 머리띠 투쟁은 이제 한낱 필요악적 존재들만 양성화시킨 꼴이며, 충남도청과 청양군청에서 열린 수많은 회의는 소모전으로 일관, 엄청난 혈세만 낭비했을 뿐이다.

강정리 문제는 지금까지 주민들을 위한 협의안은 하나도 없고, 폐기물 중간 처리업체(보민환경) 죽기기에 혈안이 돼 있는 모양새다.

이 과정에서 강정리 주민들은 한없이 소외당했으며, 불이익에 울고 있다.

강정리는 지금 인근 지역보다 농지 지가(地價)도 현저히 싸고, 농산물도 석면논란으로 외지인들은 귀농·귀촌과 농지구매를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정리는 주민들은 점점 지쳐갔고, 급기야 황폐한 마을로 전략하고 말았다.

본 기자의 고향이 강정리 362번지이다. 부끄럽지 않았던 고향이 어쩌다가 이리되었을까?

새로이 선출된 강정리 이달주(남·55) 이장은 “충남도나 청양군이 해결하지 못하고 대법원까지 올라간 강정리 문제를 그동안 고생한 주민들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대안을 청양군과 협의해 결해 나가겠다”라며 당당하게 말하는 강한 눈빛에서 얼굴을 들고 고향을 다시 찾을 수 있는 희망이 보였다.

청양=김종성 기자 kjs3605@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