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는 대전의 가장 상징적인 공간이다. 대전이 과학기술도시로 정착하고 있는 것은 오로지 대덕특구가 국가 연구개발의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기 때문이다. 150만 명 대전시민은 대한민국 연구개발의 핵심역량이 집결된 대덕특구를 자랑스러워하고 자긍심을 갖는다.

하지만 대덕특구의 서글픈 그림자도 있다. 타지에 거주하는 국민들에게 ‘대전의 가장 상징적인 공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대덕특구라고 대답하는 비율은 지극히 낮다. 외지인들 상당수는 ‘성심당’ 또는 ‘대전역’이라는 답변을 내놓고 있다.

대덕특구의 상징성이 일개 제과점보다도 못하다는 것은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이는 대덕특구가 직접적인 부가가치 및 고용의 창출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데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연구원과 연구소만을 위한 공간이지 시민과 소통하고 시민에게 직접적 이익을 안겨주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40년의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진 대덕특구가 면적 면에서 10%에 불과한 판교테크노밸리와 비교해 기업매출액이 22%에 그친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그만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미미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지역경제와 따로 놀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시점에 대전시가 대덕특구의 체질 개선에 나서 정부가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을 핵심 과제로 삼아 체질개선을 통해 국가경제성장의 거점으로 성장시켜 나가도록 역할을 해나가기로 했다. 리노베이션의 골자는 특구 내에 5~7개소의 도시형 핵심복합지구를 조성하는 방안이다.

대전시는 문재인정부가 과학기술 중심의 스마트 균형성장을 정책화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사업이 여기에 부합한다는 판단에 따라 중점 추진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특구가 더 이상 특정 집단의 전유물이 아닌 시민 모두가 공유하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특구가 소수의 종사자들을 위한 공간에 머물지 않고 시민의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경제의 성장 거점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체질개선을 해보겠다는 것이다. 때마침 4차산업혁명 바람이 불고 있고, 대전시는 4차산업 특별시를 선포한 상태이니 궤를 맞출 수 있다는 논리이다.

대전시민들은 대덕특구를 대전의 자랑으로 여겼다. 하지만 특구를 통해 얻은 반사이익은 거의 없다. 외지인들도 특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른다. 그러니 성심당보다 낮은 인지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대덕특구가 40년 만에 리노베이션을 통해 지역경제와 밀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니 쌍수로 환영할 일이다. 정부와 긴밀하게 공조해 성공적 모델을 개발하기 바란다. 특구가 대전을 위해 기여할 때가 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