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도와 인도 등에서 땅이 꺼지는 지반침하현상(싱크홀)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대전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싱크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시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9일 대전 서구 정부대전청사 주변에서 가로 2m, 세로 2m, 깊이 4m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또한 지난해에도 대덕구 한 아파트 내 도로에서 비슷한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했고 동구 삼성동에서도 낡은 복개도로 지반이 무너져 지름 5m, 깊이 2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전의 경우 2014년 이후 싱크홀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15년 12건, 2016년에는 27건이 발생했다. 전국적인 통계를 보면 2016년까지 5년간 3625건이 발생해 연평균 906건에 달하는 지반침하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싱크홀은 대부분 상·하수도관이 노후된 데다 주변 압력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면서 발생하고 있다. 실제 싱크홀의 70% 이상이 상·하수관 손상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갑자기 땅이 꺼지는 지반침하현상은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겐 공포의 대상이다. 특히 도시개발이 오래된 도시의 경우 상·하수도관을 비롯한 지하매설물들이 노후화되면서 싱크홀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하공간의 통합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예방대책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특히 불안요소에 대한 선제적 모니터링 및 관리, 지반침하가 잦은 취약지역의 안전관리를 위해 지자체 별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하도록 지자체의 역할을 특별법에 규정하기도 했다.

싱크홀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구원을 중심으로 상당부분 진척을 이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개발된 기술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지역을 분석해 상하수관로 등을 센서와 탐사장치를 이용해 측정 분석한 뒤 누수나 균열여부를 파악해 사전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첨단기법들이 포함돼 있다. 이런 기술은 서울 성동구청에서 시범사업을 벌이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에서도 이런 기술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물론 적지 않은 예산이 수반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민의 안전을 위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다른 사업보다 우선순위에 놓아야 한다. 시민들이 많이 다니는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해나간다면 예산부담도 줄이면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