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할 정도로 위기를 맞고 있다. 청년실업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치열한 경쟁과 경제적 압박 등으로 심리적 어려움이 스트레스를 넘어 불안과 우울증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생의 일이라고 대학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국가가 나서서 보다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생의 정신건강이 심각하다는 사실은 최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실태조사 결과 고스란히 드러난다. 대교협이 전국 대학생 26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3.7%가 학업과 관계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생 10명 중 7명 이상이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 중에는 불안과 우울증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도 상당수에 달했다. 불안을 겪고 있다는 대학생이 41.2%에 달하고 섭식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이 23.5%, 우울증 경험 18.8% 등 정신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학생이 적지 않았다.

더 충격적인 것은 응답자의 14.3%가 자살 위기 항목에서 위험군 내지는 잠재위험군으로 분류됐다는 점이다. 실제 1.6%는 최근 1년 이내에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자살 시도율(0.8%)보다 두 배나 많은 수치다.

이 같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최근 어려워진 취업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가운데 성공에 대한 과도한 강박으로 인해 불안이 쌓이고 있고 목적 없는 스펙 쌓기와 정체성 상실로 인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등록금 및 생활비 등의 경제적 어려움도 심리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우리 미래를 짊어질 청춘들의 정신건강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물론 각 대학들은 학생들의 정신건강과 학교 적응을 돕기 위해 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전문 인력이 소수에 그치고 일부 대학의 경우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보다 체계화시키는 작업이 급선무다. 현재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의 상담센터를 의무화하고 전문인력을 보강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해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활성화해줄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대학생 정신건강의 위기는 국가적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정책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예산을 대폭 확충해 전담기구를 만들고 인력을 충원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