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석노 대전시 농생명산업과장

 

 

언제부턴가 매일 아침 우리의 식탁에 오르내리는 먹거리의 대부분은 오랜 시간 바다를 건너온 외국산 식재료들이다. 참으로 위험천만하고 안타까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일들을 까마득히 잊고 매일 기름지고 풍성한 한 끼의 식사를 거리낌 없이 즐겨왔을 것이다.

지난해 여름 살충제 달걀 사건이 언론을 통해 봇물 터지듯 터지면서 시민들은 비로소 먹거리에 대한 불안으로 근원적인 대책마련을 정부에 호소해왔다. 국민소득 증가와 패스트 푸드 등 식생활의 서구화로 칼로리 섭취량 증가에 따른 폐해를 들어보면 10명 중 3명이 비만이며 당뇨병 질환 인구도 10명 중 1명으로 심각단계에 놓여있다, 또한 우리의 농업·농촌은 FTA 등 수입개방으로 가격하락과 생산비 증가, 고령화, 도농격차 심화 등으로 날이 갈수록 경쟁력을 잃고 쇠약해져가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의 먹거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돌아봐야할 시점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요즈음 시기적절하게 민간과 정부에서는 밥상과 농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가 앞장서서 먹거리 정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생각으로 푸드플랜을 부르짖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 아닌가 생각한다.

푸드플랜이란 용어는 아직은 생소한 게 사실이다. 용어의 정의를 이해하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며 쉽게 손에 잡히지 않는다. 개념을 정리하자면 생산·소비·안전·영양·복지·환경 등 다양한 먹거리 관련 이슈를 통합 관리하는 지역 내 먹거리 순환 종합전략이다. 한마디로 일축하면 먹거리에 가치를 담는 작업으로 무형의 가치(소비, 정책, 생산)를 중요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먹거리 정책으로 이는 문재인 정부의 혁신선도과제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손을 맞잡고 먹거리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솔로몬의 혜안을 찾을 것이다.

우리 시도 미약하나마 지역농업과 연계한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공급을 위한 로컬푸드 정책을 몇 해 전부터 추진하고 있다. 2016년에는 로컬푸드 육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하였고, 2017년에는 로컬푸드 육성 및 지원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였으며, 로컬푸드 확산을 위해 통합물류지원센터 조성, 직매장 설치, 가공지원 활성화, 지역농산물 인증제 운영, 생산자 및 소비자 교육, 건강도시락 공급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지난 2월에는 농식품부에서 공모한 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지원 사업에서 전국 9개 선도지자체 중에서 유성구 도시형사업이 선정되어 먹거리체계 구축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푸드플랜의 전제조건은 첫째,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여 지역농업과의 연계를 통해 안전한 먹거리가 식탁에 오를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대전시의 경우 광역도시로 생산기반이 취약한 실정으로 먹거리 자급자족이 어려워 인근 세종·충남·충북과의 형식적인 연대가 아닌 진실된 관계망을 만들어야한다. 셋째, 단순한 먹거리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것을 넘어서 공급자인 농업과 수급자인 소비자가 함께 상생하는 지역단위의 순환경제체계를 만드는 고민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한다.

안전한 먹을거리는 국가와 사회를 유지하는 필수조건이다. 먹을거리를 통해 건강한 가족 공동체, 더 나아가 행복한 사회 공동체를 유지시키는 해법을 푸드 플랜정책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누구나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를 보장받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고귀한 일이니 만큼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조언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