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지역 주요 국가보안시설에서 사고가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지만 안전관리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화재발생여부를 신속하게 소방서에 알려주는 설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일반 시설보다 오히려 안전관리에 허점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보안시설의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들어 대전지역 국가보안시설에서의 사고는 잊을 만하면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한화 대전공장에서 폭발로 추정되는 불이 나 3명이 사망하고 7명이 다쳤다. 또한 지난달 16일에는 한전원자력연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6명이 화상 등을 입었다. 앞서 4월 24일에는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기술실험 중 폭발사고가 발생해 시험시설 일부가 파손됐고, 지난 1월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가연성폐기물처리시설에서 불이 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나도 소방서와 핫라인은 갖춰져 있지 않다. 최근 화재가 발생한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 대전공장 등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지역에서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갖춘 시설이 지난해 기준 389개소에 달하지만 국가보안시설의 상당수는 이 설비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자동화재속보설비는 불이 났을 때 자동화재 탐지설비 수신기에 연결해 화재발생 사실을 자동적으로 119에 신고하는 설비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국방군사시설 등 국가보안시설에 이 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은 것은 사람이 24시간 상주 근무하는 경우 설치가 면제되는 등 규정이 허술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난 1일 국방과학연구소는 화재를 자체 진화한 뒤에야 대전소방본부에 신고를 했고, 앞서 4월 기술실험 중 폭발 사고는 아예 신고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물론 큰 화재로 확산되지 않아 천만다행이지만 아찔한 순간이 아닐 수 없다. 해당 시설들이 자체소방대를 운영하며 화재사고에 대처하고 있다지만 화재는 초기 진압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화재 대응 등 안전관련 시스템을 개선해 보완해야 한다. 최근 정부기관과 소방의 핫라인이 설치된 세종시의 사례를 참고해 국가보안시설에도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잇따른 유성지역 국가보안시설들의 안전사고로 인해 인근 유성구민들뿐만 아니라 대전시민 전체가 불안감을 갖고 있다. 국가보안시설에는 폭발물 등이 많을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화재에 소홀하게 대처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고방지와 함께 만약 사고가 발생해도 초기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체계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