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들의 지역 사회 기여도가 약간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점포들이 지난해 지역상품 구매와 지역인력 채용에 신경을 썼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형매장들의 공익사업 참여도나 지역 업체 활용도는 뒷걸음질 한 것으로 드러나 더 분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전시가 지역에서 영업 중인 4개 백화점과 14개 대형마트, 전문점과 쇼핑센터 3곳 등 21곳을 대상으로 지난 한해 지역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지역상품 구매액은 매출액의 7%(977억 원)로 전년(4.9%)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시가 제시한 목표치(7%)를 4년 만에 달성한 것이다. 백화점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대형마트의 경우 전체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3.8%포인트 증가한 10.4%를 기록해 상승을 주도했다.

지역인력 고용은 3068명 중 95.7%인 2936명으로 파악돼 목표치인 96%에 근접했다. 이 부분 역시 대형마트가 주도했다. 대형마트는 2241명 중 2174명을 지역인력을 고용해 97%에 달했고 전문점은 946명중 908명으로 96%, 백화점은 827명 중 762명으로 92.1%에 그쳤다.

하지만 공익사업 참여 실적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전년도(0.28%)보다 0.03%포인트 감소한 0.25%를 기록해 가이드라인인 0.35%에 못 미쳤다. 또한 지역업체 활용면에서도 인쇄물만 약간 상승했을 뿐 기타 용역 부분에서는 46%에 그쳐 목표치인 60%에 한참 미달했다.

일단 대전지역 대규모 점포들의 지역사회 기여도가 약간이나마 나아진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대전시가 기업의 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지역상생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는데 이를 부인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규모 점포들의 지역사회 기여도는 매출액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고 아니할 수 없다. 매년 대전지역 대규모 점포들의 총매출액은 2조 원이 훨씬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익사업 참여 실적은 수십억원에 그치고 있다. 수익의 대부분이 본사가 있는 서울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대전의 자금 역외유출은 규모가 비슷한 다른 지방도시보다도 더 많다. 이는 대전지역 경제를 취약하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역에서 물건을 팔고 돈을 벌었으면 일정부분 지역에 환원하는 것이 최소한의 상도리라고 본다. 오죽하면 대전시가 목표치를 정해놓고 지역과의 상생을 강조하고 있겠는가. 대전의 대규모 점포들은 무작정 매출만 올릴 궁리만 하지 말고 지역민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