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투자 철도 등에 집중될 것
국내 건설업, 판로 확대 가능성도

북미정상회담이 성료됐다.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약속도 재확인했다. 이를 통해 북한의 경제개방 가능성은 더욱 커졌고 불황인 건설업에 호황이 올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 싱가포르에서 회담을 통해 완전비핵화·평화체제·관계정상화·유해송환 등 4개 항에 합의했다. 거론됐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CVID) 언급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관련 합의를 계속하기로 했다.

회담 이후 두 국가 간 외교와 국방 실무회담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통해 북한은 경제 개방정책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북한의 경제가 개방될 경우 SOC를 중심으로 한 건설업의 호황은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실제 한화투자증권은 12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번 회담 이후 북한은 국제 외교 무대에 진출해 경제 개방정책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대북 투자 가운데 저임금에 의존한 산업이나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글로벌 기업보다는 국내 기업이 주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산업화를 위해서는 전력과 운송망 확보가 필수인데 항만이나 도로보다는 공항과 철도가 먼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정상회담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은 고속철도를 언급한 바 있다. 구체적인 금액까지 거론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남북열차 운행재개를 위한 남북철도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 통합철도망의 건설단가를 경의선(개성~평양~신의주) 약 8조 원, 동해선(고성~원산~두만강) 15조 원, 경원선(평강~원산~두만강) 15조 원으로 추정했다. 국내와 해외시장에서 수주 부족으로 성장이 정체된 건설사는 북한으로의 판로 확대를 통해 성장 동력을 갖출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역 건설업 관계자는 “북한이 경제를 개방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본다. SOC 중심의 건설업이 북한으로 진출하면 과거처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기대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