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때마다 높은 청약 경쟁률 기록
수요 많지만 부지 없어 건설업 위축
외지 건설사 유입 문제도 해결 과제

건설업계의 가장 큰 호재는 부동산시장의 활성화다. 그러나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과 조기 대통령선거로 봄 분양 시장을 놓친 건설사는 올해 6·13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8러시아월드컵 등의 악재로 상반기 실적을 올리지 못했다. 그러나 부동산시장의 최대 악재로 꼽히는 지방선거가 끝나며 충청권 시도지사가 모두 결정됐다. 이제 건설업계는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으나 장밋빛 미래만 있는 게 아니다. 각 지역의 상황이 녹록지 않아서다. 각 지역의 주요 부동산 이슈를 살펴본다.

◆주택 부지 확보 필요한 대전
대전은 서울이나 일부 수도권, 부산, 대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동산시장이 저평가됐다. 광역시 중 평균 주택 매매가가 저렴하지만 새 집에 대한 수요는 높아 분양 때마다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는 곳이다. 올해 청약 가점 만점자가 나왔고 지난해엔 만점에서 1점 모자란 83점 가점자가 나왔다.


겉으로 보면 대전에서 건설업이 크게 호황을 누릴 수밖에 없는 환경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속은 전혀 다르다. 새 집에 대한 수요가 많지만 주택을 지을 부지가 없어 건설업이 위축이 다른 지역 못지않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대전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1796건으로 세종(395건) 다음으로 적다. 주택 착공 실적은 1832건, 2853세대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다. 그만큼 땅이 없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월평근린공원에 아파트를 짓기로 하고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에 주택을 건립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반발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주택 부지 부족 문제가 심각한데 대표성 있는 외지의 건설사의 유입은 특히나 지역 건설업의 위협이다. 지난 4월 도마·변동 3구역 재개발구역이 대표적이다. 도마·변동 3구역 재개발사업은 대전 서구 변동 9-4번지 일원인 변동네거리에서 변동초등학교 인근의 노후 주택을 재개발하는 사업이다. 3700세대의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고 사업 규모는 6000억 원 이상으로 평가된다. 지역에선 유일하게 금성백조가 입찰했고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지에스건설은 미라클사업단이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 경쟁에 나섰다.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미라클사업단은 총 700표 중 418표, 금성백조가 261표를 득표하며 시공사는 미라클사업단으로 선정됐다. 가뜩이나 지역 건설업계는 밥그릇이 부족한데 작은 밥그릇마저 외지업체에 뺏겨버린 것이다.

대전의 인구는 최근 150만 명선이 무너졌는데 이는 건설업계의 불황과도 절대 무관하지 않다. 주택용 부지 부족이 건설업계의 불황으로 이어지고 건설업계가 아파트를 짓지 못하며 새 아파트가 공급되지 않자 결국 인구 유출이란 문제까지 발생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대전·세종·충청사회학포럼이 대전시민 711명을 대상으로 대전 거주 인구 중 세종으로 이주하고 싶은 이유를 조사한 결과 주택구입이 가장 큰 이유였다는 점도 근거가 된다. 대전에 아파트 공급이 부족해 새 아파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세종으로의 이주를 부채질했다고 볼 수 있다.

대전지역 건설업 관계자는 “지역 건설업을 위한 단체의 대전지회는 다른 지역에 비해 너무 초라할 정도로 규모가 작다. 가뜩이나 건설업이 불황인데 특히나 대전은 침체가 심하다”며 “많은 문제가 있지만 우선 주택용 부지가 생겨야 건설업이 활성화될 텐데 부지가 없으니 건설업이 불황을 맞은 것이다. 건설사는 먹거리를 찾아 외지로 향하고 대전에 아파트는 들어서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