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을 나타내는 죽마고우, 관포지교의 고사 성어를 통하여 참 우정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한다.

▲ 욕망이나 이해관계 앞에서도 우정을 지킬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죽마고우)
1700여 년 전 중국 동진 사람인 환온과 은호는 어릴 때부터 죽마(竹馬)를 같이 타고 놀던 죽마고우(竹馬故友)였다. 그런데 두 사람이 어른이 되어 벼슬길에 오르자 정적(政敵)이 되어 서로 반목(反目)하게 되었다. 진나라는 중원 땅을 회복하기 위해 은호를 중원장군에 임명했다. 은호는 군사를 이끌고 출전했으나 도중에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결국 대패하여 돌아왔다 이에 죽마고우였지만 정적이 된 환온은 기다렸다는 듯이 은호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려 변방으로 귀향을 가게 되었고 은호는 귀양지에서 생애를 마치게 되었다.

죽마고우의 고사처럼 어렸을 때 순수했던 우정이 어른이 되어서까지 그대로 지속되기란 쉽지가 않다. 어른이 되면 환온과 은호처럼 서로의 이해와 경쟁 그리고 자신의 욕망으로 인해서 순수한 우정이 변하고 금이 갈 수 있다. 집안의 동기 간도 마찬가지다. 어렸을 때는 서로 업어주고 안아주고 했던 동기 간의 정이 어른이 되니까 이해관계나 재산문제 등으로 금이 가기 시작하고 심지어 남보다 못한 관계가 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참으로 내 자신은 욕망이나 이해관계 앞에서도 우정을 지킬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 친구의 어려움에 이익을 양보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관포지교)
2700여 년 전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사람으로 죽마고우였던 관중과 포숙아는 어른이 되어 정치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관중은 당시 제나라 군주인 양공의 아들 ‘규’의 측근이 되었고 포숙아는 규의 이복동생인 ‘소백’의 측근의 되었다. 얼마 후 혼란한 정치상황 속에서 아버지인 ‘양공’이 죽자 두 이복형제인 ‘규’와 ‘소백’ 간에 왕위 쟁탈싸움이 벌어지게 되었고 자연히 죽마고우였던 관중과 포숙아도 본의 아니게 자기가 모시는 주군을 따라 정적이 되었다. 이복동생인 ‘소백’이 왕위쟁탈전에서 승리하여 왕위를 이어받게 되었으니 그가 바로 제나라의 환공이었다.

왕위쟁탈전에서 패한 ‘규’는 자살을 하였고 ‘규’의 측근이었던 ‘관중’은 압송되어 사형에 처할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 때 환공의 측근이 된 포숙아는 눈물로써 자기의 주군인 환공에게 간언(諫言)했다. '전하, 제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臣)으로도 충분할 것이옵니다. 하오나 천하를 얻으려 하신다면 신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저 관중을 기용하시옵소서.' 이에 도량이 넓고 식견이 높은 환공은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大夫)로 중용하고 정사를 맡겼다. 후에 재상이 된 관중은 대정치가로서의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제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었고 환공을 춘추시대의 패자(?者)도 만들었던 것이다. 포숙아로 인하여 목숨까지 구할 수 있었고 재상까지 된 관중은 훗날 포숙아의 진심어린 우정에 감사해하며 이렇게 술회했다.

'내가 가난했을 때 포숙아와 장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이익을 나눌 때마다 내가 더 많은 몫을 차지하곤 하였으나 포숙아는 나를 욕심쟁이라고 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한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야기에서 참 우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관중과 포숙아는 한 때 정적이 되었지만 두 사람의 우정은 변치 않았다. 나는 이해관계나 경쟁관계, 정치관계로 인하여 우정을 깨고 있지 않은지 둘째, 포숙아는 관중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기 목숨까지 걸었다. 나는 친구가 위기에 처했을 때 위험을 무릅쓰고 친구를 구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지 셋째, 포숙아는 관중이 자기보다 뛰어남을 인정하여 왕에게 자기보다 높은 재상의 자리에 천거하였다. 나는 친구의 뛰어남을 시기질투하거나 모함하고 있지는 않은지, 친구의 뛰어남을 인정하여 추천할 도량은 없는지, 넷째, 포숙아는 자기보다 형편이 어려운 관중에게 자기 것을 양보했다. 나는 어려운 친구를 위하여 나의 이익을 양보할 수 있는 인정이 있는지를 반성해 보아야 할 것이다. 후대 사람들은 흔히 관중의 빼어남을 칭송하면서도 그를 끝까지 이해하고 우정을 보여준 포숙아의 인간됨을 더 많이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 그렇다. 나는 과연 이해관계보다 우정을 우선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대전시민대학 인문학 강사>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