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장 근로자가 아픔을 호소하며 소리를 지른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해 결국 사망하는 사건이 대전에서 발생해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경찰이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이유로 119와 연계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응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돼 경찰의 안이한 대처가 아쉬움을 주고 있다.

사건은 지난달 2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오후 대전의 한 공사장에서 ‘60대 남성이 주저앉아 소리를 지르고 있다’는 신고가 관할 지구대에 접수돼 지구대 경찰관이 출동했다. 하지만 출동 경찰은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이 때문에 이 남성은 40여 분이나 더 현장에 방치됐고 이후 시민의 신고로 119가 출동해 후송했지만 결국 숨졌다는 것이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무슨 근거로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좀 더 관심을 갖고 119에 공동 대응을 요청한다든지 하는 적극 대응이 아쉽다는 것이다.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을 뿐더러 최소한 119에라도 연락해 환자의 응급 상황 여부만이라도 체크해 대처했더라면 이런 비극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경찰이 자신의 업무영역이 아니라는 이유로 소극적이지 않았느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경찰이 자기 일이 아니다 싶더라도 최소한 관계기관에 연계해주는 것까지는 명확히 해야 했는데 이를 소홀히 했다는 것이다. 물론 일선 경찰의 업무는 날이 갈수록 늘어가고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일선 지구대의 경우 적은 인력으로 근무하며 밤이면 취객 등 수많은 신고 사건으로 시달려야 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환자와 취객을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고 일일이 119 등 유관기관과 공동 대응하기는 더욱 더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찰의 주 임무가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있어야 한다. 민중의 지팡이로서의 경찰의 의식 개혁이 필요한 부분이다. 과거 권위주의시대와 비교하면 많이 달라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일부 경찰들의 소극적인 대처는 곧잘 ‘안이한 경찰’의 이미지를 심어주곤 한다.

더구나 경찰은 검찰과 수사권 조정을 해가며 자치경찰을 도입하기로 하고 내년부터시범 시행에 들어가기로 한 상태다. 자치경찰의 가장 큰 장점은 치안유지 등에 대한 책임 강화와 주민들에 대한 친절 등이 꼽힌다. 경찰은 이번 공사장 근로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시민 안전을 위한 첨병의로서의 책무를 다시 한 번 다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