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제품 줄이기 운동이 유통업계로 확산되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업계의 참여만으로는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법제화하는 방안이 적극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계의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편의점 GS25는 12일부터 전국 점포에 종이 쇼핑백 도입 관련 공문을 발송하고 본격적인 종이 쇼핑백 사용에 돌입한다. 제과업계도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운동에 동참해,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는 지난 2일 환경부와 협약을 체결해 전국 매장 4700여 곳에서 연간 비닐쇼핑백 2억 3000만 장을 퇴출하기로 했다.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글로벌 업체들의 플라스틱 줄이기 참여는 더 적극적이다.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는 2020년까지 전 세계 매장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없애기로 했다. 매년 플라스틱 병 약 1200억 개를 사용하고 있는 코카콜라 역시 2030년까지 캔과 플라스틱 병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케아는 2020년까지 전 세계 모든 매장과 레스토랑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관련 업계들이 플라스틱 제품 사용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업계의 이런 움직임은 물론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때문이지만 정부의 대대적인 단속이 예정된 데 따른 자구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최근 플라스틱 사용의 폐해에 대한 언론의 잇따른 보도도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업계의 노력만으로 플라스틱이 얼마나 줄지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유통업계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겠다고 나섰지만 소비자가 왕인 시대에 소비자들의 의식이 뒷받침이 되지 못한다면 그 효과는 반감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소비자의 의식을 개선하기 위한 대대적인 캠페인과 함께 플라스틱을 생활 속에서 실질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세계 각국은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각종 규제방안을 강화하고 있다. 플라스틱 컵과 빨대 등과 같은 일회용품 사용에 높은 부과금을 징수하기 시작하고 있고 개인용 물병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의 조치가 잇따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업계와 소비자의 자발적인 참여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당국이 법제화를 통해 생활 속 플라스틱 줄이기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와 함께 소비자들의 동참을 유도하는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