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태부족, 사회 인식 부족도 한몫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 바꿔야”

정부가 지속적으로 지원책을 시행하고 특히 문재인정부들어 치매국가책임제 선언이 이어지는 등 치매에 대한 대응이 체계를 갖춰가고 있지만 치매 극복을 위해선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치매국가책임제 선언 이후 1년, 상당 부분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서 치매 환자 가족의 부담도 줄었지만 전문가들은 치매예방 중심으로 정책 프로그램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치매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치매는 암과 함께 노인이 가장 무서워하는 질환이다. 환자의 인격을 말살하는 병인 동시에 가족에게는 엄청난 간병의 고통을 안겨주는 가정 파괴의 주범이기 때문이다. 치매 부모를 모셔보지 않는 사람은 그 고통을 짐작조차 할 수 없다.
이 같은 측면에서 치매국가책임제와 맞물려 치매 대응의 첨병 역할을 맡게 된 치매안심센터가 넘어야 할 산은 많다.

폭넓은 업무에 비해 전문인력과 장비 등이 부족한데다 조기검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공공의료가 주력해야 할 사례관리 등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접근이 용이한 치매안심센터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이용은 늘고 있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 관리는 여전히 힘든 실정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의 직원은 2522명으로 센터당 평균 9.9명이다. 정부는 연말까지 센터당 평균 25명을 채울 계획인데 실현 여부는 미지수다. 대전의 경우 5곳에 68명의 직원이 종사하고 있다. 치매 조기 검진 및 신경심리검사를 전문적으로 하는 임상심리사의 경우 전국적으로 39명에 불과하다.

한국치매예방협회 대전지부 김영 전문강사는 “국가책임제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치매안심센터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특정 자격 분야별 인력이 골고루 배치돼야 하는데 급격하게 인력을 충원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치매는 조기발견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특히 생활습관과 깊은 관련이 있는 질환으로 전문인력 양성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에 앞서 노인 대상 인지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단순놀이와 취미활동에 치중된 프로그램을 치매 예방 중심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고 치매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식 개선을 병행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 강사는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치매를 진단받고도 이를 받아들이지 않거나 치료 필요성을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치매에 대한 잘못된 분위기가 치매환자와 가족을 사회적으로 소외시켜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치매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drago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