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역 증가불구
필요한 사전방제 예산확보 실패 요인
“방제사업 필요예산 현실적 조정 필요”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 숫자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지역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예방나무주사 등 사전방제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현황’에 따르면 2015년 137만본이었던 피해목은 2017년 68만 본으로 감소하였으나, 피해목 숫자와 달리 실제 방제조치를 취해야 하는 피해지역은 2015년 79개 시·군·구에서 2018년 117개 시·군·구로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피해목 숫자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 예산 집행액은 2013년 370억 원에서 2017년 697억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 중 훈증과 파쇄 등을 위한 피해 목 사후방제 예산의 비중은 2013년 약 60%에서 2017년 약 78%까지 크게 증가한 반면, 대표적인 사전적 방제 수단인 예방나무주사 예산의 비중은 11%에서 7%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사후방제 위주의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이 피해지역 확산을 막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사전 방제 강화가 필요하지만, 산림청은 필요한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실패했다. 특히 2018년 5000㏊ 대상 120억 원에 달했던 예방나무주사 예산은 2019년 예산안에서 712㏊ 대상 17억 원만 반영된 것으로 파악되면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피해지역에 대한 방제가 적기에 이뤄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박완주 의원은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 숫자와 피해면적은 비례하지 않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실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하는 피해면적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은 밑 빠진 독에 물붓기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향후 산림청은 국회에서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예산 증액에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사업 성과지표에 피해 목 숫자뿐만 아니라, 피해지역 증감도 포함시킴으로써 재정당국과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적정 예산을 현실에 맞게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천안=김완주 기자 pilla2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