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과 목숨 맞바꾼 울분의 역사

 

[11월 17일 을사늑약 치욕 상기...숭고한 희생정신 가슴에 새겨야]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코와 귀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보고 들었을 묵직한 언어, 유관순 열사의 절규다. 백범 김구, 도마 안중근, 도산 안창호, 매헌 윤봉길, 단재 신채호 등을 비롯한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바친 이들은 우리는 ‘순국선열’이라 하며 그들을 기리는 ‘순국선열의 날’을 제정해 그 숭고한 뜻을 기리고 있다. 그렇다면 순국선열의 날은 언제일까. ▶관련기사 3면

순국선열의의 날은 11월 17일로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희생한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위훈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한 가지 더 알아둬야 할 점은 ‘11월 17일’의 의미다. 1905년 11월 17일 강제로 체결된 을사늑약, 사실상 망국일인 이날의 치욕을 잊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리고 또 하나, 순국선열의 날은 1939년 11월 2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제31회 임시총회에서 지청천, 차이석 등 6인의 제안에 따라 기념일로 삼았다는 점이다.

순국선열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을 위해 항거하다가 순국한 인물들을 말한다. 1955년부터 1969년까지는 정부 주관의 기념행사가 거행됐으나 1970년 이후에는 정부행사 간소화 조치로 정부 주관 행사는 폐지되고 유족단체 주관의 기념행사만 이뤄졌다. 1997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11월 17일 순국선열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해 정부기념일로 복원되면서 다시 정부 주관 행사로 거행되기 시작했다.

혹자는 현충일과 순국선열의 날을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엄연히 다르다. 현충일은 독립운동가는 물론 6·25전쟁에서 희생된 장병,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까지 함께 추모하는 국가 공휴일이나 순국선열의 날은 순수하게 우리나라 광복 이전 독립운동을 하다 독립을 끝내 보지 못하고 순국한 이들을 기리고 추모하는 날이다.
최근 순국선열에 대한 조명이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일제강점기 처형된 희생자는 15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국가 유공자로 서훈 받은 사람은 1500명도 채 되지 않는다. 본인의 이름보다 ‘의병’이라는 이름으로 당시를 살았던 이들부터 일제의 탄압을 피해 해외로 망명해 항일독립운동을 이어갔던 그들의 흔적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온 겨레 나라 잃고 어둠 속 헤매일 때 자신을 불살라서 횃불마냥 밝히시며 국내외 광복전선서 오롯이 목숨 바친 님들의 그 충절이 겨레의 얼 지켰네. 우리는 순국선열을 우러러 기리면서 그 후예다운 떳떳한 새 삶을 다짐한다.’ 순국선열을 우러러 기리며 부르는 순국선열의 노래 일부다.

현재를 사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정신으로 단재 신채호 선생은 ‘영토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있어도, 역사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고 했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