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새벽 대전에서 규모 2.1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지는 유성구 북서쪽 8㎞ 지점이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새벽에 잠을 설친 시민들이 적지 않았고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대전에서의 지진은 올 들어 두 번째다. 지난 1월 10일 대전 서구 남남서쪽 12㎞에서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또한 지난 2016년 11월에도 유성지역에서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대전에서는 지진을 계기로 측정하기 시작한 1978년부터 규모 2.0이상의 지진이 총 13회 발생했다.

대전을 비롯한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은 지진학자들이 이미 여러 차례 지적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을 관측한 이래 40년간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5.0대 강진은 총 10차례에 달한다. 가장 강력한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에서 일어난 것으로 규모가 5.8에 달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규모의 지진은 어느 정도일까. 기상청이 1978년부터 2016년까지 지진계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당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규모의 지진은 6.0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또 일부 학자들은 한반도에서 7.0 수준의 강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지진대책은 미흡하기 그지없다.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전국 건축물 698만여 동 중 내진 성능을 확보한 것은 약 6.8%인 47만여 동에 그치고 있다. 법적으로 내진설계를 의무화한 건축물 가운데서도 절반이 훨씬 넘는 67%는 아직도 내진 대비를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규모 6.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하면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소방방재청의 시뮬레이션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6.5의 강진이 발생할 경우 사망자 7700여 명, 부상자 10만 7000여 명 등 11만 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예상됐다. 대전도 도시 규모에 비례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규모가 2.0을 조금 넘는 지진이 발생한 것을 두고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대책을 세우고 실천하는 일은 서둘러서 나쁠 것이 없다. 더구나 대전은 유성지역에 국가과학기간시설들이 즐비하고 핵과 관련한 연구기관들이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신경써야 한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한다고 해도 지진 등 자연재해를 인간이 완전하게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미리 대비하고 대책을 세운다면 그 피해는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지진과 관련된 보다 체계적인 대비책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