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원 충남경찰청 기획예산계 경감

사람은 누구나 職이 있다. 어떤 이는 그 치열한 과정을 거쳐 직을 얻고 어떤 이는 누군가로부터 간섭 받지 않는 스스로의 직을 택한다. 또 자신의 의사에도 불구하고 직 자체를 얻지 못하는 이도 부지기수다. 살다보면 직이 없는 이는 직 있는 이를 부러워하고, 직이 있는 이는 직이 없는 이를 자유인이라 칭하며 동경한다. 때로는 내가 하는 일은 힘들게 느껴지고 남이 하는 일은 편하고 좋게만 보이기도 한다. 모 방송사 프로그램에 나오는 자연과 어울려 살아가는 이들을 부러워하며 한번쯤 해보고 싶다고 느끼는 이유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그 택한 직을 누가 잘했다 못했다 섣불리 평가할 수는 없다.

직업에 귀천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직을 선택한 배경이 각자 다르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그럴듯한 명함 한 장 갖기를 원하는지도 모르겠다. 그 명함과 직위가 나중에는 아무 쓸데없다는 것도 모르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영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업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면 된다. 농부가 제 때 씨앗을 뿌리지 않고 논밭을 놀려도 누가 뭐라고 할 사람은 없다. 단지 씨앗을 제 때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얻는 것이 없을 뿐이다. 또한 식당 주인이 가게 문을 닫아도 나무랄 사람은 없다. 단지 얻는 수익이 없고, 고객과의 신뢰 문제일 뿐이다. 하지만 국민의 위임을 받는 공무원은 다르다. 그 위임자에 대한 책임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임명권자가 누가 됐든 지위고하가 높든 낮든 국민의 위임을 받은 것 아닌가? 그렇다면 그 위임자가 바라고 원하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소위 권력이 있다고 해도 그 권력을 행사할 때는 그 위임자의 뜻에 맞아야 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그 권한과 책임은 예측가능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현재 진행중인 자치경찰제나 수사권조정 문제도 오로지 국민만을 보고 가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것이 이 사회가 추구하는 나름대로의 정의이고 민주사회인 것이다. 국민이 부여한 권한과 책임 그리고 위임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면 개인이나 그 조직은 존재 가치가 없다. 검사든 경찰이든 국회위원이든 그 직을 갖고 있는 존재 가치를 찾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내가 국민들로부터 받는 기대나 신뢰에 맞게 오늘도 할 일을 다 했는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나는 오늘도 職에 충실한 사람이었는가?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