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실기시험 예산 등 빠듯
지역대, 수도권보다 타격 커

정시 모집에 분주한 지역 대학가가 인하된 입시전형료로 한숨을 쉬고 있다.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선 반가운 입시전형료 인하가 대학에겐 곳간이 줄어드는 악재로 작용하면서다. 학교 홍보는 물론 실기 시험 운영 등에 있어 빠듯하다고 호소한다.

지난해 교육부는 각 대학에 입시전형료 인하를 요청했다. 그 결과 전체 4년제 대학의 입시전형료는 평균 15.24% 줄었다.

지역 대학가에서도 응시생 대비 입학전형 총 수익이 인하됐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지역 입시전형료 총 수익을 대학별로 살펴보면 대전대 7억 3187만 원(1만 7180명), 목원대 5억 5426만 원(1만 1685명), 배재대 4억 8210만 원 (1만 2762명), 우송대 4억 9175만 원(1만 5959명), 충남대 9억 5754만 원(3만 6742명), 한남대 6억 2220만 원(1만 5667명), 한밭대 3억 8362만 원(1만 2345명) 등이다.

입시전형료는 학교입학수험료징수규정 전부개정에 따라 수당, 홍보비, 인쇄비, 자료 구입비, 소모품비, 공공요금, 식사비, 시설 사용료 등으로 사용된다. 이중 홍보비로는 홍보 물품을 제작하거나 구입하면 안 되며, 입학정원 규모에 따라 지출 상한을 정했다.

책정된 지출 상한과 인하된 입시전형료에 예산이 빠듯해진 대학은 말 그대로 울상이다. 학교 홍보와 실기 시험 운영에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 A 대학 관계자는 “한정된 금액에서 꼼꼼하게 예산 계획을 세워야 하다 보니 홍보 책자와 같은 기본적인 홍보물을 만들 때도 돈을 아끼게 된다.

더 나은 홍보물을 만들고 싶어도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예체능 계열 학과는 실기 시험만 보더라도 볼펜, 소묘재료, 감독관 등의 부수적인 비용이 들어 만만치 않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사정은 B 대학도 마찬가지다. 이 대학 관계자는 “학교를 홍보할 수 있는 폭이 좁아졌다”며 “정시 모집 기간 입학박람회 참여 횟수도 줄어들었다”고 푸념했다.

더 큰 문제는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은 지역 대학이 수도권 소재 학교보다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수도권 주요 대학은 학생들의 응시비율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입시전형료를 줄여도 예산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이다.

A 대학 관계자는 “수도권과 지방 대학은 실기 시험 감독비도 차이가 난다. 지방대학의 경우 10만 원 안팎으로 지급되지만, 서울권 학교는 많게는 30만 원도 준다. 특히 예체능 계열일수록 더 심한 편이다”며 “학생들에게 더 나은 시험 환경을 제공하고 싶어도 예산이 줄면 상황이 어렵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