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2조원 투입 3만개 육성 , 2022년까지 스마트산단 조성 계획 , 운영인력도 10만명으로 배로 확대 , “일자리 6만 개 증가 기대”

정부가 2022년까지 제조 중소기업의 절반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꾼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과기정통부 등 9개 부처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까지 2만 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3만 개 규모로 상향조정했다. 국내 10인 이상 제조 중소기업 6만 7000개의 약 50%를 지원한다는 의미다.

정부는 내후년부터 근로시간 단축에 들어가는 중견·중소기업, 뿌리산업 등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큰 전략업종을 우선 지원키로 했다. 스마트공장 설비 투자자금 2조 원을 지원하고 30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공장 구축·공급기업 전용 펀드도 운영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연계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지원모델을 신설하고 대기업 퇴직 기술전문가를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지원사업도 새로 운영한다. 스마트공장 구축 기술지원·사후관리·노하우 등을 전수한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에 참여하는 대기업에는 동반성장지수 평가 때 우대한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을 육성하는 방안도 담았다. 전국 단위 제조데이터 수집·분석·활용이 가능한 빅데이터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중기부 R&D 예산의 20%를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에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양성규모도 2022년까지 5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늘린다.

제조업 근간인 산단 역시 혁신을 맞이한다. 정부는 산업단지를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스마트산단 선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산업단지의 변화를 꾀한다. 관계부처 합동 ‘스마트산단 기획단’을 구성, 2022년까지 10개 스마트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에 우선 국가산단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 근로자들을 위해 문화·체육시설 등을 집적화한 복합문화센터를 13개소 설치하고 산단형 공동 직장어린이집도 2020년까지 100개 구축하기로 했다.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ESS),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등 에너지 인프라를 조성하고 통합 에너지 거래 플랫폼 구축에도 나서는 등 에너지와 제조 산단과의 연계도 추진한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으로 일자리가 6만 6000개 늘어나고 18조 원의 매출증가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중기부 홍종학 장관은 “그동안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면서 나타난 민간중심의 스마트공장 구축 생태계 조성, 지역주도 보급체계 등의 성과를 거뒀다.

이제 이를 바탕으로 제조업 전반을 혁신해야 한다”며 “우수한 ICT인프라, 스마트공장 경험을 가진 대기업, 실력있는 중소기업, 수준 높은 인재를 모두 갖춰 역량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