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등 탈바꿈하는 구도심에 반해
텅 빈 신도시 상가…뒤늦은 LH 전수조사
자치분권의 ‘덫’으로 작용될 우려 높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에서 “세종시는 행정수도”라는 위상을 세웠다 청와대 제공

세종시 B 모(62·조치원읍 자이아파트·주부) 씨가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사하기 위해 집을 내놓은 것은 지난 2016년 초.

이주를 결심한 B 씨는 당시 분양시세보다 4000만~5000만 원을 내려 부동산에 내놨지만 문의조차 없었다. 어쩔 수 없이 3년여를 살아온 지금, 눌러 살기로 마음먹었다.

현재 아파트 시세는 처음 분양가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복됐다. 그동안 신도시로 이주했던 원주민들이 다시 돌아 왔거나 돌아올 것이라는 입소문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그동안 신도시로의 인구 쏠림현상에서 U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기적’처럼 성공한 비결, 도시재생사업이 먹히면서 쇠락의 도시를 급반전시키는 원동력이 됐다.

세종시 김재근 대변인은 “도시재생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소통에서 이뤄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행안부와 각 지자체들이 도시재생에 성공한 세종시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것.

이처럼 구도심의 탈바꿈과 달리, 신도시의 화려한 성장 뒤에 암울한 그림자가 더 깊어지고 있다. 인구를 빨아들이던 세종 ‘블랙홀’도 멈추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신도시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물가(高物價)가 ‘바가지 수준’이라는 불만이 팽배해지면서 시민 생활전반에 영행을 끼쳤다. 소상공인 폐업률 전국 1위라는 불명예의 덫‘이 꼬리표에 붙었다.

행정수도 등 호재로 인구 빨아들이던 ‘세종 블랙홀’이 어느새 고물가의 ‘덫’에 덜미를 잡힌 것이다. 정부의 임금인상 정책 등 소상공인들의 연이은 악재는 결국 벼랑 끝에 내몰렸다.

심지어 상가건물을 헐값에 통째로 매각하는 회사까지 나오면서 ‘막장’에 달하고 있다. 경영위기에 봉착한 건설사 등의 몸부림이다.

텅텅 빈 상가가 수년 동안 지속되면서 ‘유령의 도시’로 전락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심상치 않다.

세종 신도시의 상가분양 실패의 가장 큰 요인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높은 분양가와 업종제한, 무분별한 상업시설 승인 등이다.

특히 2년여 전부터 상가의 이상 징후가 속속 드러나 ‘경고음’이 울리고 있는데도 사태파악조차 하지 않는 등 작금의 사태를 불러왔다. 결국 행복청-LH의 무능력, 무책임의 산물이 ‘덫’을 키웠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에서 ‘세종시는 행정수도’라는 위상을 세웠다.

이춘희 세종시장의 야심찬 빅카드, 자치분권의의 선두주자로 내디딘 ‘레이스’에 큰 장애물을 어떻게 넘어설지 주목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