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3·1운동 100주년 무엇을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토론회
민중당 대전시당 주최,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 강조

임재근 팀장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대전지역 차원에서도 철저하고 명확한 재연구를 바탕으로 ‘대중적인 기억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민중당 대전시당(위원장 노원록)이 주최·주관한 ‘대전 3·1운동 100주년 무엇을,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정책토론회에서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은 “단순히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말고 일상적이고, 적극적이고, 대중적인 기억운동을 펼쳐야 한다. 이 일에 민관이 함께하면서 정당, 단체, 언론기관 등 모든 분야에서 힘을 모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대중적 기억운동에 앞서 철저한 조사·연구사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이다. 대전 3·1운동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연구가 뒷받침되지 않다 보니 역사를 배우려는 시민 입장에서 혼란과 혼선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기억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이 부실하고 심지어는 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대전 3·1운동 과정에 사망한 이들이 30여 명 되는데 대다수 신원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것이 100주년을 맞은 대전의 현주소다.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해이지만 끝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시작이 돼야 한다. 철저하고 명확한 재연구를 바탕으로 대중적 기억운동을 펼칠 것을 제안한다”라고 밝혔다.

3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민중당 대전시당 주최·주관으로 ‘대전 3·1운동 100주년 무엇을,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민중당 대전시당 제공

임 팀장은 “대전에선 1919년 3월 3일부터 4월 3일까지 인동, 유성, 유천, 갈마(치마), 회덕, 산내, 가수원, 세천 등지에서 총 19회에 걸쳐 연인원 3000명 이상이 3·1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사람에 대한 기억, 장소에 대한 기억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짜들을 가려내는 것도 3·1운동을 제대로 기념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간 독립운동과 관련해 가짜 독립운동가로 판명된 사례가 적지 않다. 가짜를 만들어내는 과정은 치밀하고 장기간 준비되는 경향이 있는데, 후속 연구가 부진한 틈을 타고 가짜가 침투한다. 무관심 속에 틈새를 파고들어 사익을 얻으려는 가짜들을 찾아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