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교원 부족, 교사 부담 확대
학교, 교원·교실·평가 방식 우려
교육과정변화 단계적 접근 필요

고교학점제가 오는 2025년 전면 도입을 목표로 다시 출발선에 섰다. 교육부 등 교육당국에선 고교학점제를 현장에 점진적으로 안착시킨다는 계획이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하다. 특히 지역에서는 부족한 교원과 시설, 학생 점수 평가 등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가 높다. 

고교학점제는 학생 스스로 교육 과정을 선택하고 이수하게 해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고자 마련된 제도다. 교육부는 지난 15일 2018학년도 기준 전국 105개교였던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를 342개교로 확대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했는데 이에 따르면 대전에선 올해 연구학교 3곳, 선도학교 6곳이 운영될 계획이다.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연구·선도학교가 운영되면 현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교육과정 편성부터 학생들에게 직접 사전 희망 교과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목이 개설되는 게 대표적이다. 만약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을 경우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과목이수지원센터 등을 통해 수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도입까지 아직 갈 길이 멀다. 특히 교원 임용 과정에서 인원 부족의 현실을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지역에선 과목별 교사 배치가 가장 큰 문제다. 대전과 세종에 비해 교원 임용대기자가 부족한 충남이 특히 그렇다. 학생들의 희망에 따라 여러 교과목을 개설하게 되면 기존 교사들이 많게는 2~3개의 수업을 보강해야 하고 그래도 부족하면 외부강사를 채용해야 하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충남도교육청 관계자는 “직무연수, 부전공 연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존의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긴 하겠지만 교사 부담은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일선 학교 현장에서도 이런 걱정은 마찬가지다.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에 앞서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운영을 통해 미리 적응하는 것이 나쁘진 않지만 현실은 교원 공급과 교실 배치, 평가 방법 등에서 발목이 잡혀 있어서다.

대전 A 고교 관계자는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모두 만들어 주다는 게 어렵다. 또 진로 과목을 담당할 교원이 부족하고 교실 마련도 한계 중 하나”라며 “특히나 고등학교는 점수와 관련해 예민할 수밖에 없는데 평가기준까지 모호해서 실제 학교 현장에선 고교학점제에 대해 준비를 하거나 접근하기 조심스러운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고교학점제 시행에 앞서 실질적인 문제들이 이어지자 교육당국도 자체적인 대안 마련에 부심하는 모양새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진로 교사가 모든 학생들의 진로과목을 담당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커리큘럼 디자이너를 통해 보완하려 한다”며 “아직 교육과정, 학점 문제, 시설 등은 바뀌는 부분이 많아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