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세권 개발이 재추진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유성장대B구역이라고 이름 붙여진 유성전통5일장 터 일대의 재개발도 활발한 주민 동의 절차가 진행되며 급부상하고 있다.

도시가 생겨난 지 100년이 지난 대전은 곳곳에서 많은 재건축과 재개발이 추진돼 성공했고, 진행 중인 곳도 많다. 개발에 성공한 지역은 말 그대로 상전벽해의 변화를 이루었다.

공공기관이 주축이 돼 추진한 주거환경개발사업도 많았고, 주민들이 주축이 돼 추진한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도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반면 10년 넘게 제자리걸음하며 주민갈등만 커지는 사업지도 많다.

낙후된 환경을 개선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일은 누가 뭐래도 좋은 일이다. 도시환경이 개선되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 삶의 질도 높아진다. 막대한 개발 이익도 발생한다.

그렇다면 그렇게 좋은 재개발 사업을 반대하는 이들이 내세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대단히 복잡해서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다. 대개는 표출하는 이유 외에 속셈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재개발은 수백, 수천 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이다 보니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이권이 부지기수로 많다. 그래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시작되면 민심이 사분오열돼 반목과 갈등이 생기기 일쑤이다.

개발을 통해 발생되는 이익이 엄청나니 그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부정을 일삼는 이들이 나타난다. 그들 중 일부는 각종 부정행위가 발각돼 법의 심판을 받아 영어(囹圄)의 몸이 되기도 한다.

현시점에 대전에서만도 꽤 여러 곳이 재개발을 놓고 추진 세력별로 또는 찬반세력별로, 팽팽하게 맞서는 형국이 연출되고 있다. 무탈하게 재개발이 추진되는 곳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된다.

지금껏 추진된 각종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드러난 가장 큰 문제점은 갈등이나 반목이 아니다. 그보다 더 큰 문제점은 원주민 가운데 해당 사업지구에 재정착하지 못하고 떠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보상금이 적은 건물주나 토지주의 경우, 아파트나 상가를 차지하려면 엄청난 추가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그러니 떠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세입자들의 경우 정착할 확률이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다.

원주민은 밀려나 더욱 열악한 환경으로 이주하고 개발 이익은 자금력을 갖춘 새로운 전입자들이 챙기게 된다. 개발을 통해 주거환경이 바뀌고 막대한 개발 이익이 발생한다 해도 정작 그 수혜자의 상당수는 전입자들이다.

재개발을 추진할 때 가장 우선에 두어야 할 점은 빈민층이 최대한 정착하고 개발이익을 그들이 챙길 수 있게 해주는 일이다. 단 한 명의 원주민이라도 밀려나지 않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춰 개발은 추진돼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