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대전을 방문해 “대전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선도 도시”라면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새로운 도약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이 대전의 일자리 창출과 혁신창업으로 이어지고 대덕특구가 대전시 혁신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대전을 사실상 4차 산업혁명특별시로 천명한 것이다.

이에 발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4차 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 전략’을 발표하고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혁신성장 모델을 창출하고 확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오는 2022년까지 10개 이상의 강소특구를 지정하며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기존 4개 특구(광주·대구·부산·전북)와 강소특구를 하나로 연계하는 전국의 혁신플랫폼을 구축해 성과를 창출해 나간다는 것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덕특구를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재창조하기 위한 ‘대덕특구 재창조 비전과 전략’을 소개했다. 허 시장은 ‘대덕특구를 기업 중심의 혁신성장 특구, 첨단기술이 비즈니스가 되는 특구, 기술의 융·복합과 혁신이 일어나는 특구로 재창조하겠다“면서 ”이를 통해 2030년 연 매출 100조원, 일자리 10만개 창출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사실상 대전을 4차 산업혁명특별시로 천명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한 과학도시 대전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나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대전이 명실상부한 4차 산업혁명특별시로 부상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셈이다.

하지만 과제도 만만치 않다는 게 과학계의 설명이다. 우선 4차 산업혁명의 가장 중요한 동력인 출연연의 열악한 연구 환경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출연연과 비정규직 간 갈등이 풀이지 않고 있고 PBS(연구과제중심제도) 개편도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연구 관련 예산의 부족은 여전한 과제로 꼽힌다. 출연연 관계자들은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야하는 고민이 아닌 어떻게 하면 예산을 따올 수 있을지에 대해 더 고민하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하고 있을 정도이다. 이밖에도 지속적인 분원 유출로 인해 대덕특구의 힘이 빠지고 있는 점도 문제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가 대전이 4차 산업혁명특별시로 도약할 수 있느냐의 관건이다. 물론 중앙정부가 집중적인 예산 지원 등을 통해 뒷받침을 해줘야 하겠지만 대전시도 창의적인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역경제발전과 연계시키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