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를 비롯해 대전 지역 곳곳에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는 폐자전거가 늘어나면서 처리에 골치를 앓고 있다. 그동안 폐철로 활용했지만 최근 들어 고철 값이 하락하면서 폐기업체들이 수거를 꺼려해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재활용하는 방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방치 자전거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방치됐다고 신고가 들어와 처리하는 자전거는 지난 2015년 220대에서 2016년 516대로 2배 이상 급증했으며 2017년 307대, 지난해 442대로 크게 줄지 않고 있다. 게다가 아파트 단지를 비롯해 신고되지 않는 방치 자전거까지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방치 자전거는 ‘자전거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거해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치구들은 방치 자전거에 대한 민원이 들어오면 해당 장소로 가서 일정기간 계고 스티커를 붙여 주인을 찾고 주인이 나타나지 않을 시 자전거를 수거해 각 구청 자재창고에 1년 동안 보관하게 된다.
구청은 1년 동안 구 홈페이지 공고를 통해 주인을 다시 찾지만 주인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구청은 자전거를 결국은 재생하거나 고철로 처리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여의치 못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재생 자전거는 거의 없고 대부분 고철로 재활용해왔는데 최근 들어 고철 값이 떨어진 데다 재활용 처리 비용이 올라 폐기물 업체들도 처리를 꺼려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거리의 흉물로 방치된 자전거를 그대로 놔둘 수는 없는 일이다. 자치구별로 뭔가 묘안을 찾는 등 처리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 서구청의 경우 지역 자활센터의 저소득층 자활사업으로 시작된 행복자전거협동조합에서 처리하고 있다. 방치 자전거를 적절한 처리로 재활용해 낮은 가격으로 되파는 사회적 기업 활동과 연계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효과적인 방안을 다른 자치구들도 도입해 골칫거리인 방치 자전거를 재활용할 수 있었으면 한다.
또한 자치구들이 어느 정도의 예산이 들어가더라도 폐자전거를 수리해 필요로 하는 주민들에게 저가로 나눠주는 방안도 검토해 봐야 한다. 저가로 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다면 이를 찾는 주민들이 의외로 많을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지금처럼 법률에 따라 신고가 들어오면 일정기간 공고를 통해 주인 찾기를 시도하고 안 되면 고철로 처리하는 등의 경직된 자세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골칫거리인 방치 자전거를 수리해 필요한 주민들이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이야 말로 지방자치시대 복지행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