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김 씨 생전 트라우마 호소…병원 치료까지 , 사측 트라우마 고위험군 지원대상 명단에선 빠져

지난해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 후 사측이 직원들의 정신건강 관리 차원에서 치료지원사업을 진행했지만 이 과정에 허점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발생한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 희생자 가운데 한 명인 김 모(32) 씨는 지난해 사고 후 트라우마(외상성 신경증)에 시달렸지만 직장 내에서 적절한 관리를 받지 못 했다는 주장이다. 사측은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해 개인치료와 치료비를 지원했다고 설명했으나 이 명단에 김 씨는 없었다.

18일 유족들에 따르면 수 년 전부터 한화 대전공장에서 일해 온 김 씨는 지난해 5월 일어난 폭발사고로 5명이 숨진 사고 이후 가족들에게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김 씨 유족은 “(김 씨가) ‘꿈에 동료들이 보인다’며 고통스러워했다. 정신적 충격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치료약을 복용하기도 했다”며 “개인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했다. 회사 차원에서 상담이나 치료비 지원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말했다.

사측도 트라우마 치료를 지원한 현황 명단에 김 씨는 없다고 확인했다. 한화 관계자는 “지난해 사고 후 해당 사업장 근로자들에 대한 트라우마 검사와 상담을 진행했다. 심리충격도 검사를 통해 고위험군을 추려 개인상담과 치료비를 지원했다. 그러나 이번 폭발사고 사망자 중 당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이는 없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근로자에겐 전문가상담과 개인상담을 진행했고 필요 시 의료 지원도 제공했다. 사망자 중 트라우마 고위험군은 없었다. 고위험군이 아닌 이들은 집단교육만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유족들의 진술들을 종합해보면 김 씨의 경우 트라우마 고위험군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고 정신과와 관련된 약을 먹는 것은 트라우마 고 위험군으로 볼 수 있다”며 “치료가 되기 전까지 (트라우마를 겪은 장소에서) 비슷한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것은 좋지 않다.

환경을 바꿔주는 것이 치료를 위해 좋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트라우마를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은 만큼 고통을 호소하는 이가 말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화는 지난해 대전공장 폭발사고 이후 몇 명의 근로자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치료를 받았는지에 대해선 답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화 관계자는 “경찰이 (폭발사고 수사와 관련해) 관련 서류를 가져가 현재로선 (치료자 수에 대해) 파악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