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지원 턱없이 부족
창업 무관한 교수가 맡기도
“지역에 맞는 교육이 경쟁력”

4차 산업혁명의 화두는 비단 시대의 변화만을 상징하지 않는다. ‘산업’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처럼 결국 고용과 관련한 일자리 체제가 달라진다는 얘기다. 대전 지역 대학가들이 앞다퉈 창업 인재 양성에 화력을 집중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인데 막상 뚜껑을 열면 외화내빈(外華內貧)의 상황에 머물러 있는 게 현실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회 각 분야별로 이에 대한 대비 움직임으로 분주하다. 특히 대학에선 날로 악화되는 고용 환경을 타개하고 청년실업난 해소를 위해 창업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최근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2018년 대학 창업통계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191개였던 학생 창업기업이 2017년 1503개로 26.2% 늘었다. 이는 각 대학들이 창업휴학제도, 창업대체학점인정 등 창업 붐 조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대학이 주도하는 창업이 높은 청년실업률, 열악한 대학 졸업자 취업상황을 극복할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에서도 이런 분위기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충남대 창업동아리에 참여한 학생들이 법인을 설립, 기술개발에 나서 상용화 직전 단계에 이른 데 이어 미국 현지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19에 참여해 현지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고 한남대에선 재학생이 창업한 기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내 최연소 연구소 기업으로 등록되는 등 지역 대학들이 심혈을 기울인 창업 역량 강화의 성과가 하나둘 결실을 맺고 있어서다.

그러나 대전 지역 대학들이 일군 창업 소산(所産)과 별개로 학내에서의 창업교육 실태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부터 각 분야별 창업 관련 교과들이 개설돼 운영되곤 있으나 일반적 상식을 전하는 교양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다.

실제 A 대학이 2019학년도 1학기에 개설하는 창업 관련 교과의 진도 계획을 살펴보면 수업시수 중 실습과 체험 위주보단 이론 교육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B 대학은 교양으로 개설된 창업 과목을 창업과 전혀 무관한 교수가 담당할 정도다. 지난해 창업 교과를 수강한 A 대학에 재학 중인 김 모(23·여) 씨는 “수업을 들으면 집중해서 듣는 학생을 찾기 어렵다”며 “내용 역시 이론에 치우쳐 졸업 후에 실제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역 대학을 졸업하고 창업 현장에 뛰어든 청년들의 목소리도 결국 캠퍼스 안의 교육을 개선하고 과학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대전만의 특색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에 맞춰진다. 대학 창업교육의 목표는 창업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할 수 있을 때 달성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전에서 스타트업으로 청년창업에 뛰어든 한 인사는 “대전 대학에선 스타트업의 대한 현실을 제대로 아는 교수를 찾아보기 어렵고 지원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역경제 특성에 적합한 창업교육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대학의 역할 집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