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긍지 드높이는 기념일로 알려야
시민 관심 절실, 민주화 교육 강화 목소리

2019년 3월 8일, 3·8 민주의거가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첫 생일을 맞는다. 1960년 3월 8일, 오랫동안 침묵 속에 묻혀 있던 지역의 역사가 국가의 역사로 격상되고 맞는 첫 해다. 민주화 역사의 단초가 된 그날을 기억하고, 국가기념일 지정의 의미를 되새겨 대전시민의 긍지를 드높이는 기념일로 알려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지난해 11월 대한민국의 민주의거로 국가기념일 지정 후 첫 기념일을 맞는 올해부터는 지난 20년 동안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주관해 온 3·8 민주의거 관련 기념식과 헌화식 등을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한다. 국가 공식행사로 격상된 기념식은 8일 오전 10시 시청 남문광장에서 열린다. 이낙연 국무총리와 학생, 시민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8 민주의거를 기념하는 뜻깊은 행사로 진행된다. 특히 이날 보훈처는 시청 일대를 통과하는 퍼레이드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3·8 민주의거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축하할 예정이다. 이후 3·8기념사업회는 ‘3·8민주의거 둔지미공원’에서 별도로 3·8민주의거 50주년 기념탑 헌화식을 갖는다.

1960년 3월 8일 대전고 학생들이 대흥동과 문창동 일대의 주택가 골목에서 경찰에 쫓기고 있다. 앞에는 곤봉을 휘두르는 경찰이 있고 멀리 반대편에도 진압경찰이 있어 갇혀있다.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홍영유 씨 제공

3·8 민주의거가 국가기념일로 격상되고 4·19혁명, 3·15 마산의거, 2·28 대구의거 등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게는 됐지만 여전히 그날에 대한 관심은 저조하다. 대전에서 3·8 민주의거가 일어난 사실 자체를 알지 못함은 물론이고 국가기념일 지정이라는 의미 역시 모르는 시민이 상당수다. 3·8기념사업회가 지난 2000년부터 40주년 기념 특별강연회와 세미나로 시작해 현재까지 3·8기념식, 기념탑 헌화 및 시낭송회, 학생백일장, 3·8푸른음악회 등을 이어오면서 그날의 역사를 알리는데 노력해오고 있지만 여전히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절실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이에 따라 3·8 민주의거를 대전을 넘어 충청지역에서 첫 번째로 지정된 국가기념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의미를 되새겨 대전시민의 긍지를 드높이는 기념일로 인식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3·8기념사업회는 기념관 건립을 다음 과제로 삼았다. 대구 2·28기념관, 기념공원, 마산 국립 3·15민주묘지, 3·15아트센터 등처럼 시민들이 기억하고 기념할 만한 공간이 꼭 필요해서다.

3·8민주의거 기념탑. 전우용 기자 yongdsc@ggilbo.com

3·8기념사업회 김용재 공동의장은 “국가에서 국가의 역사로 국가기념일을 지정했다면 대전시에서는 3·8 민주의거 발원지탑 또는 표지석을 세우고, 참여 학교로서 위상을 세우기 위해 대전상고(우송고)에도 반드시 기념비를 세워야 한다”며 “또 기념관, 기념공원, 3·8로, 도서고나, 문예공원 등 어떤 것이라도 건립에 역량을 모아 국가기념일 품위를 높이고 대전의 자존심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민주화에 대한 교육 강화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의거에 참여했던 학교들 말곤 제대로 민주화 교육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도 학교의 자율성이라는 미명하에 내버려 두는 건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민주의거 교육 자료를 준비해 학교에 안내하고 현장에서 교육이 충실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민주화 교육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선영 기자 kkang@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