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1분기 평균 연체율 1.71%

서민이 주로 이용하는 캐피탈,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고신용·고소득자가 주로 분포된 일반은행의 연체율은 하락세로 전환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20일 각 사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우리·하나·롯데 등 7개 카드사 평균의 올 1분기 연체율은 1.71%다. 지난해 1분기(1.54%)보다 0.17%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모든 카드사가 일제히 상승했다. 카드사 중에서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하나카드,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삼성카드로 나타났다. 하나카드는 지난해 2.23%에서 올해 0.32%포인트 증가한 2.55% 수준을 보였고 삼성카드는 같은 기간 1.14%에서 1.49%로 0.35%포인트 늘었다.

반면 은행권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국내 은행들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6%포인트 떨어진 0.46%로 집계됐다. 2월말까지 두달 연속 상승했던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석달 만에 하락 반전한 거다. 3월 중 연체채권 정리규모(2조3000억원)가 신규연체 발생액(1조 3000억 원)을 상회해서다.

카드사의 연체율이 늘어난 건 근본적으로 전체적인 경기지표가 나빠서다. 연체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소득이나 신용에 대한 심사기준이 비교적 까다롭지 않아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이 자주 이용한다.

그러나 카드사 입장에선 리스크 관리를 이유로 금리를 10~20%로 책정해 소득이 낮은 사람 중 일부는 상환할 수 있는 적정치 보다 많이 받아 연체를 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각종 경기 지표에 먹구름이 드리우면 상관관계에 의해 카드사 연체율이 늘어나는 것이다.

대전의 한 금융사 관계자는 “경기가 안 좋으면 일용직이나 알바를 하시는 분들부터 타격을 입는데 생활비가 부족한 이들이 어쩔 수 없이 찾는 것이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이다. 상환 능력이 있어 돈을 제때 갚으면 상관이 없겠지만 그러지 못해 점점 더 신용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대출규제도 카드사의 연체율 상승의 원인이다. 카드사에 상환할 금액을 대출로 해결해야 하는 경우 대출이 되지 않아 연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A 카드사 관계자는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에 따라 연체율의 분모가 되는 대출 자산에 제약이 있어 연체율 증가로 이어진 부분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