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살처분 대상 축산 농가는 말할 것도 없고 구제역 영역권에 들지 않은 축산 농가도 마찬가지다. 설상가상으로 힘들게 하는 것은 사회 전반적으로 번지는 ‘소비위축 심리’다. 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는 “청양에서 구제역이 일어났는데 고기를 먹어도 괜찮을까요?”라는 질문에 “이론적으로는 먹어도 괜찮아요. 구제역 바이러스는 100도 이상의 열을 가하면 전멸하기 때문에 먹어도 아무 해는 없으나, 좀 의심스럽고 찜찜하다면 좀 기다렸다가 구제역이 잠잠해 지면 그 때 드시라”는 등 무책임한 답이 떠도는 등 부정적인 여론과 파장이 결국 소비심리 위축을 부채질하는 양상이다. 구제역 영향권에 든 축산 농가에서는 가족과 같은 소를 땅에 묻으며 눈물과 한숨으로 땅이 꺼지게 걱정을 하고 있는데, ‘무관심 지역’ 국민들은 ‘면역’이라도 생긴 듯 남의 말하 듯 한다. 책임 있는 당국자가 인체 피해여부에 대한 홍보를 제 때에 적극적으로 해주지 않은데 따른 부작용이다. 멍드는 농심은 이 뿐만이 아니다. 구제역이 발생한 인근 농가에서는 그동안 사료를 주문하기 무섭게 재빨리 농장까지 배달해 줬으나 구제역이 터지고 나서는 3㎞밖까지만 배달하고 돌아간다. 그래도 이런 불편은 살 처분 농가의 눈물에 비하면 감수할 만 것이라 여겨 직접 트럭을 빌려 실어 나르고 있는 실정이다. 선거에 임하는 예비후보자들도 애가 타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농촌에선 후보가 직접 찾아오지 않으면 이른바 ‘괘심 죄’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농가를 방문하는 것과 방문하지 않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인줄 알면서도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농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다”는 것은 그나마 이해가 간다. 선거를 앞두고 장기화할 경우 투표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은 뻔하다. 그러나 당장 시급한 것은 선거가 문제가 아니다. 당국에서는 더 이상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방역 체계를 갖추는 한편, 불필요한 ‘소비위축 심리’ 차단을 위한 설득력 있는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