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구 배재대학교 LINC+사업단 연구원

우리나라는 1960년 산학협력 정책이 수립돼 1980년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라는 정책을 통해 정부주도의 산학(産學)협력이 시작됐으며 현재까지 다수의 성과를 이루면서 수많은 사업들이 지속돼왔다. 이러한 산학협력 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산학협력단이라는 별도 특수법인을 구성해 산학협력 사업을 운영해 오고 있다.

오늘 필자는 이러한 산학협력 사업의 이면을 짚어보고자 한다. 다소 불편한 내용일 수도 있다. 많은 대학교에서 IPP사업, SW 중심대학, LINC+사업 등 대형 국책과제를 수주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이른바 ‘연구원’들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그렇다면 ‘연구원’은 과연 무엇일까? 이들은 국책과제를 운영하는 ‘계약직 직원’을 보통 ‘연구원’이라 일컫는다. 연구원은 해당 사업기간동안 계약에 의해 채용되고, 사업 종료 시 계약이 해지되는 말 그대로 ‘임시직’ 직원이다.

하지만, 급여수준이나 복지혜택 등은 대학의 정규직원들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 무엇보다 해당사업이 종료되면 거의 모두 일자리를 잃고 기존 연봉과 동일하거나 낮은 새로운 사업의 사업단에 입사하여 또 다시 ‘연구원’으로 일하게 된다. 시각을 달리해보자. 대학 정규직원의 규모(인원)의 한계로 인해 이 사업들을 대신 운영해 줄 직원들을 초빙하는 것이고, 그 만큼의 정당한 처우를 해줘야 한다. 이것이 대학 산학협력사업의 이면이다.

한때 대학이 ‘신의 직장’이라고 말할 때가 있었다. 하지만, 연구원들에게는 다른 세상 이야기다. 급여, 업무, 고용안정성에서 거리가 멀다. 그렇다고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연구원들이 나서는 경우는 드물다. 어차피 사업 종료되면 떠날 자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통념은 일반적으로 널리 통하는 개념이고, 상식은 일반적인 견문과 함께 이해력, 판단력, 사리분별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아무런 불편함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통념들이 우리 삶 곳곳에 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세상이 투명해지고, 통념이라고 일컫던 것이 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서 필자가 밝힌 불편한 진실은 언젠가는 수면위로 떠오를 것이고 우리는 이러한 통념과 상식을 구분 짓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