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1강 1중 2약 형태 보일 듯
대전 최소 상반기까지 오름세 예측
세종 전세가 하락 우려에도 강보합
충남·북 수부도시서 가격상승 예상
도 단위 가진 한계로 상승세 적을 것

지난해 충청의 부동산시장은 대전을 중심으로 활황을 보였다. 세종은 연말쯤 돼 회복세를 보였고 충남과 충북은 수부도시에서 크게 살아났다. 올해 역시 지난해와 비슷한 양상으로 흐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은 적어도 상반기까지 오름세가 분명할 것으로 예상되고 세종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충남과 충북은 천안과 청주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각 지역이 가진 악재와 총선이 끝난 뒤 본격적인 부동산규제가 등장할 것이란 공통된 걱정거리가 존재한다. 올 충청권 부동산시장을 전망해본다.

◆당장은 지난해와 비슷한 양상
 

충청권의 전체적인 흐름은 지난해와 같은 모습일 것으로 보인다. 요역하면 1강 1중 2약이라 할 수 있다. 1강인 대전은 여전히 부동산 강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계속된 가격 오름세를 막을 제동이 적어도 상반기까진 없을 것이라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대전에서 가장 강력하게 작용하는 신축 호재가 올해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대장주로 평가받는 단지가 대거 공급된다. 당장 탄방1구역(숭어리샘)과 용문1·2·3구역에 분양이 예정됐고 도안신도시의 트리풀시티도 계획에 포함됐다. 대전 전역에서 공급 일정이 잡혀 있어 최근 5년 중 올해가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질 것이란 기대가 크다. 지난해 분양이 예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발생했던 걸 감안하면 올해 역시 분양 예정 지역 인근의 단지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

세종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아파트 매매가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세종의 경우 장기적으로 볼 때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고 대전의 오른 집값을 피해 유입될 주택 수요도 충분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부동산 분위기가 예전만 못하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부터 시작된 상승세는 무서울 정도다. 여전히 분양 불패라 할 정도로 분양 시장에서 늘 완판을 기록했단 점도 고무적이다. 특히 행복도시의 경우 공공택지여서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도 올 세종의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부문이다. 여기에 갈수록 확장되는 인프라 등도 충분히 세종 입장에선 호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인프라적인 측면에서 대전과 비교할 때 열악한 게 사실이어서 대전과 가까운 곳, 상업시설과 인접한 곳, 학군이 좋은 곳 등에서 가격 상승이 일어날 것이란 전망이 높다. 당장은 폭등 수준의 상승장이 나타날 것처럼 보이나 부동산규제가 적용된 지역임을 감안해 올 한해 분위기는 강보합이 예상된다.

도 단위인 충남·북은 대전·세종에 비해 부동산시장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수부도시인 천안과 청주는 이야기가 다르다. 천안과 청주는 최근 분양 시장에서도 높은 평균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뒀고 이에 따라 매매 시장에서도 우상향이 이뤄졌다. 충남 천안의 경우 지난해 1분기에 분양한 3개 단지 모두 완판에 성공해 산뜻한 출발을 알렸고 이어 3분기 물량 중 1개 단지에 많은 청약자가 몰렸다. 4분기에 공급된 2개 단지 역시 완판을 기록했다. 물론 일부 단지는 청약 미달을 보였으나 충분히 분위기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

충북 청주는 천안만큼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한 게 사실이다. 충북의 경우 지난해 엄청난 부동산 하락을 보였다.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은 당해마감엔 실패했으나 간신히 2순위에서 완판을 기록해 올해 좋은 분위기를 이어갈 수 있단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충북의 핵심 사업들이 대거 반영돼 교통접근성 등 인프라 확장이 부동산시장에 호재로 충분히 작용할 요소다.

◆악재도 뚜렷한 충청권

충청 전역이 호재로만 가득한 건 아니다. 뚜렷하게 악재로 작용할 요소도 확실하다. 대전의 경우 부동산규제 적용 여부다. 정부는 지난달 16일 대출을 옥죄고 세금을 강화하는 게 골자인 부동산규제를 내놨다. 시장에선 전방위적인 정책이라 평가하나 수도권을 타깃으로 했다는 목소리가 있다. 그러나 반대로 말하면 부동산규제가 사실상 완성이 됐다는 것이다. 즉 부동산규제는 완성됐기에 대전이 규제 대상에 포함되느냐, 포함되지 않느냐의 문제다. 이제까지 대전은 부동산규제가 발표될 때마다 적용될 것이란 예측이 있었으나 늘 피해왔다. 그러나 올 총선이 끝나면 대전에도 부동산규제가 적용될 것이란 시각은 분명하다. 대전은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상승률이 컸던 만큼 정부의 감시망에 포착됐을 가능성이 높고 지정 여부는 총선 이후가 될 것이란 예측이 있다.

세종은 주홍글씨처럼 따라다니는 과잉공급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세종은 출범 이후부터 매해 입주 물량이 쏟아졌는데 인프라가 미흡해 다른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인구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입주 물량은 모두 전세시장으로 나왔고 전세 수요가 이사철을 제외하면 받쳐주질 못해 전세가가 떨어졌다. 전세가 하락은 결국 매매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세종 역시 전세가 하락에 따른 매매가 하락이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문제는 지난해 연말을 기점으로 최소화됐다. 세종 입장에선 다행스러운 점이라 할 수 있으나 인프라 확충이 더디다는 점은 충분히 좋지 않은 신호다. 세종에서 호재로 분류되는 상권과의 근접성이 대표적인 예다. 상가 공실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고 할 정도로 관련 문제는 세종에서 심각하게 작용한다. 올해도 같은 문제가 빠르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면 세종 부동산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기에 충분하다. 12·16부동산규제가 시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예측이 어려우나 부동산규제 발표 이후 약 한 달 뒤 부동산시장이 침체됐다는 과거 사례는 충분히 우려스러운 게 사실이다.

충남과 충북은 도 단위가 가진 한계성이 뚜렷하단 점이 부동산시장에서의 악재로 분류된다. 충남과 충북의 수부도시인 천안과 청주가 지난해부터 회복세를 보였다고는 하나 상당히 국한됐다. 특히 천안과 청주 내에서도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주택 수요의 구미를 당기게 할 만한 ‘무엇’이 적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